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양을 비교, 양자의 화학적 동일성을 증명했다(1796)1884~1971 스웨덴의 생물불리 화
학자
발보 태생 웁살라 대학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12년에는 교수가 되었다 자기장 속을 운동하는 하전입자의 각 운동량 벡터는 자기장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 ...
세계 과
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
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03년 처음 열렸고 2004년에는 김 교수를 비롯해 최재천 서울대 교수 등 4명의 과
학자
가 강연자로 나서 청소년들에게 흥미로운 과학의 세계를 소개했다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언제 붙인 것일까. 그 동안 우리가 알고 있었던 한반도 산맥체계는 1900년대 초 일본 지질
학자
고토 분지로(小藤文次郞)가 조사한 지질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현재의 산맥체계는 일제가 한반도의 지하자원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산물이다.고토 분지로는 망아지 네 마리와 여섯 사람을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었는데, 오늘날 현미경 시료를 준비할 때도 이 정도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아
학자
들은 매우 놀랐다.전자현미경을 동원해서 정밀하게 시료를 조사하고 레우벤후크의 관찰기록과 대조해 본 결과 그의 관찰이 놀랍도록 정확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10개의 현미경 중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황색 · 적색 · 청록색 등을 띠는 것도 있다철 · 망간 · 니켈을 함유한다1893~1986 미국 생화
학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태생 김나지움을 거쳐 부다페스트 대학 의학부에 진학, 조직학에 흥미를 가지고 항문상피(肛門上皮)를 연구하여 1912년에 최초의 논문으로 발표했다파장이 1~10cm인 극초단파 진동수는 3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채 경기에 임한 체스 고수들 중 상당수가 고배를 마셨다고.미국 브랜다이스대 컴퓨터 과
학자
인 호드 립손과 조단 폴랙은 진화알고리즘을 이용해 컴퓨터가 로봇을 설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부모 역할을 하는 이 컴퓨터에는 플라스틱 부품을 만드는 3D프린터가 연결돼 있다. 알고리즘이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박무광 박사(NIDA, 국립약물중독연구소)는 “지금 이곳에서 젊음을 불사르고 있는 한국 과
학자
가운데 세계적인 논문을 내놓을 사람이 머지않아 나올 것”이라며 “이들이 한국에 돌아가서 하게 될 일을 한번 기대해볼만 하다”고 자신한다 ... ...
진화론의 고향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희귀한 생물이 살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1831년 22세의 젊은 영국 생물
학자
찰스 다윈은 남태평양의 여러 섬을 항해하는 비글호에 올랐습니다. 비글호는 1835년 갈라파고스 제도에 도착했죠. 이곳의 생물들을 유심히 관찰한 다윈은 핀치의 부리 모양이 먹이인 씨앗의 크기나 단단한 ... ...
돌연변이에 대한 편견을 버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부모에게 없던 성질이 갑자기 나타나 유전되는 현상으로 네덜란드의 유전
학자
드 브리스에 의해 알려졌답니다. 자연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방사선이나 화학 물질 때문에 일어날 수도 있지요. 아마 우리가 가지고 있는 돌연변이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은 영화나 소설 때문일지도 몰라요. 인간의 ... ...
짝짓기를 위해 암컷으로 변장하는 호주 오징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과학학술지 ‘네이처’ 1월 20일자에 소개됐다.미국 우드홀 해양생물학실험실의 해양생물
학자
로저 핸론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수천 마리의 호주 오징어를 몇 년 동안 관찰했다. 호주 오징어의 수컷 수는 암컷에 비해 4배나 돼 수컷은 짝짓기를 하려면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한다. 실제 짝짓기에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