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평화롭지 않은 평화의 상징,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지만 비둘기는 그리 평화로운 새만은 아니랍니다. 노벨상 수상자인 오스트리아 동물
학자
콘라트 로렌츠는 비둘기는 한 곳에 가둬놓으면 서로를 공격하는 못된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 냈지요. 최근 영국에서는 패스트푸드로 인한 비만 비둘기가 나타나 화제가 된 적도 있고, 세상에서 가장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약칭 IOC)의 주관으로 1970년대에 실시된 국제협동 연구 프로그램이다 미국의 해양과
학자
를 중심으로 환경특성 · 환경예보 · 해저평가(海底評價), 생물자원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그 아래로 각기 몇 가지 연구계획이 실시되었다 데이터를 집적시켜 목적에 따라 각기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분석하기 위해 내이는 구조적으로 매우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헝가리 출신 생리
학자
인 게오르크 폰 베케시 박사는 내이에 있는 기저막이 부위별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는 소리의 주파수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해 196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코르티 기관에 속해 있는 기저막은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장엄하고 아름다운 지구는 자연에 대한 깊은 성찰과 생명의 숭고함을 불러온다.영국 지질
학자
인 사이먼 맨체스터는 지구의 극한 지역을 “위험할 정도의 아름다움과 빛나는 고독을 동시에 맛볼 수 있는 장소”라고 말했다. 그는 “나약한 한 인간으로서 자연의 어마어마함에 도취돼 가쁜 숨을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감염률은 불과 0.1%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금도 이따금씩 회충 환자가 발견돼 기생충
학자
를 반갑게 하지만, 회충은 이제 거의 사라진 상태다. 도시에 사는 사람이라면 회충에 대해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아직도 봄·가을에 회충약을 먹는다. 이게 공황장애의 한 종류가 아니면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일어나는 극 진동인 북극 진동 현상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30년대다. 영국의 기상
학자
워커 박사는 북극 지역과 유럽에서 관측된 해면기압이 서로 반대로 진동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는 이것을 ‘북대서양진동’이라고 불렀다.지난 수십 년 동안 축적된 지구 기상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극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다는 게 그의 지론.뇌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학습생물학’을 제안한 독일의 생화
학자
프레데리크 페스터는 “뇌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법칙들을 거스르는 교육은 헛되다”고까지 주장한다. 이번 기말고사 때는 뇌의 기억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고 이를 활용해 새로운 학습전략을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관심을 끌었다. 아프리카 코끼리 ‘움라이카’(Mlaika)가 그 주인공이다. 케냐의 동물
학자
조이스 풀 박사는 움라이카가 밤마다 내는 “끼익~” 소리를 녹음해 사람들에게 들려줬더니 대부분 트럭 소리로 오해했다고 한다. 풀 박사는 이 소리가 움라이카를 가둔 보호 우리에서 3km 떨어진 고속도로를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때도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인 것은 아니다. 당시 유명한 철
학자
였던 토마스 홉스는 실험과학이 자연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는 철학의 제 1원리를 위배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빈 공간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보일이 진공을 만들 때 공기를 빼내는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이 죽고 근육이 퇴화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영국의 유명한 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 이 병을 앓고 있다.윌머트 박사는 “사람 대신 줄기세포로 신약을 테스트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연구이며 복제된 줄기세포를 인체에 넣어 신경 기능을 재생하는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