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거래금지 항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야생 악어는
지금
까지도 일부 국가에서 불법으로 거래되고 있다.악어의 아름다운 진화사는 지난 2억5000만 년 동안 이어져왔다. 하지만 이들의 이야기가 고작 가방 때문에 끝나버릴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도 안타깝다. 과연 악어는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이어지거나 혹은 부모 자신에게 되돌아가고 있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학대는
지금
도 우리 주변 곳곳에서 악순환의 고리를 견고하게 다져가고 있다. 부모에게 살해당하는 아이들은 한 달 평균 2.6명(2006년 1월~2013년 3월까지)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Part 2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터무니없는 생각이 든다. 더 이상 해도 뜨지 않고 어떤 꽃도 피지 않으리라. 그렇지만
지금
이 순간~.시간은 낮과 밤 사이에서 흐르기를 멈춘 것만 같고, 나무들은 저마다의 깊은 꿈속에서 영원을 노래하는 듯하다.K박사의 이상한 숲에서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이미지는 조금씩 달라요. 안 믿겨진다고요?
지금
한 손에 펜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다행스럽게도 우리의 뇌는 양쪽 눈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보고 있었어요.“오로라! 너 뭘 보고 있는 거야?”“히익! 깜짝이야! 너 왜 나왔어? 나
지금
목성 보고 있잖아!”“아~, 별 보는구나!“별 아니거든? 행성이거든!”“별이 아니라고? 하늘에서 반짝이면 다 별 아냐?”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융합 개념 파헤치기거대한 우리은하, 더 거대한 ... ...
[Editor’s Note] 혼자 밥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이벤트였던 것 같다. 꿈보다 해몽일지 모르지만, 역시 예술가다운 발상이었다(그 친구는
지금
영화감독이 돼 있다). 그런데 그 때 느낀 게 있었다. 혼자밥 모임의 회원들 다수는 나처럼 대2병에 취해 있지 않았다는 거였다. 그들은 정말 밥을 혼자 먹고 싶어 하지 않았다. ‘혼밥’은 억지로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찔러 난자를 채취한다. 권 연구원은 “한때는 연구원들이 직접 난자를 가져와야 했는데
지금
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주사기 몸통에 누런 황체와 난자가 점점 늘었다. 인터뷰 와중에도 그의 손은 말보다 더 빨리 움직이며 신선한 난자를 채취했다. 방해가 될까 얼른 인사를 하고 ... ...
[쇼킹사이언스] 동글동글, 요정의 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나미비아엔 세계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만나고 있는 해안 사막인 ‘나미브 사막’이 있어요. 이 사막은 연평균 강수량이 20~200㎜정도인 건조한 지역이라 ‘아무 ... 좀 더 정확한 증거가 필요하거든요. 과학자들은 요정의 원에 숨겨진 비밀을 밝히기 위해
지금
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답니다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등을 감지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제겐 한 가지 비밀이 더 있답니다. 바로, 지느러미예요.
지금
까지는 물고기가 헤엄치는 과정에서 지느러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내는 연구들이 주로 진행됐어요. 덕분에 물고기의 움직임을 밝혀낼 수 있었지만 지느러미가 감각기관으로 사용되는가에 대한 의문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거대한 현미경처럼 물질의 구조와 변화를 자세히 알아낼 수 있을 거예요. 이를 이용해
지금
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우리 몸 속의 단백질이나 식물의 광합성 반응에서 빠르게 생기는 물질 등을 연구할 예정이랍니다 ... ...
이전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