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다가 ‘윽!’ 코를 쥐어 막은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하수구 맨홀 뚜껑을 통해 진하게 풍겨오는 악취 때문이다. 매년 만 여 건씩 접수되는 악 ... 은평구와 영등포구의 악취 모델링 지도가 완성됐다. 지긋지긋한 악취와의 전쟁은
지금
부터 시작이다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일종의 사투리(방언)인 셈이다.그런데 용암도마뱀들의 방언은 변화가 점점 커져서
지금
은 서로 다른 지역의 용암도마뱀들끼리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가 됐다. 이런 ‘언어장벽’ 때문에 갈라파고스 제도의 용암도마뱀들은 서로 다른 종류끼리 교배를 할 수 없다. 클라크 박사팀은 앞으로 오랜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저온성 세균도 있습니다. 극지에서 사는 생물입니다. 이유경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
지금
까지 미생물이 발견된 가장 은 영하 89.2°C”라고 말했습니다.지구를 기준으로 보자면 포에베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세균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미생물은 지구로만 한정해도 전체 미생물의 1%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민주주의가 지구를 살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기술만으론 부족하다. 수익성만 중시하는
지금
의 정치·사회를 바꿔야만 한다. 그런 환경을 만들려면 결국 우리 스스로의 힘에 의지해야 한다. 희망은 아래로부터 올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저자의 메시지가 의미심장하다. “기후변화는 인류 조직의 ... ...
[과학뉴스] 비눗방울만큼 얇은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미국 메사추세츠공학대학교 블라디미르 불로비치 교수팀이 개발한 이 태양전지는
지금
까지 개발된 태양전지 중 가장 얇고 가볍답니다.기존의 태양전지는 보통 유리 기판 위에 만들기 때문에 무겁고 딱딱했어요. 그래서 실생활에서 이를 다양하게 사용하기가 어려웠지요. 가볍고 부드러운 플라스틱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불리는 화학 선생님이었어요.“모두 화학실험실에 온 것을 환영한다! 그런데 너!
지금
뭐 하는 거지?”괴상한 모습을 한 화학 선생님은 시원이를 보고는 성큼성큼 다가와 매서운 목소리로 말했어요.“누가 내 허락도 없이 실험도구들을 만지는 거지? 당장 나가!”시원이는 당황스럽고 부끄러워서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논리력이 필요했어요. 여기에 객관적인 근거가 되는 것이 바로 데이터예요. 데이터가
지금
처럼 부각되기 전부 현실의 문제를 데이터로 해결하기 시작했던 거죠. 그렇게 계속 이 일을 하다 보니 데이터과학자가 될 수 있었어요. 데이터과학자에게 중요한 건?이터과학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잘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알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게 ASA의 입장입니다.과학 연구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지금
당장 재현성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 겁니다. 이미 2년 전부터 저명한 학술지에서는 재현성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여러 지침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습니다. 작은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은이 섞여 있는 사실을 밝혔다. 그렇다면 아르키메데스가 살던 시대보다 2300년이나 지난
지금
왕관 대신 다른 것으로 부력의 원리를 확인해볼 방법은 없을까?2006년까지 발행된 옛 10원짜리 동전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으로 이뤄져 있다. 구리와 아연은 서로 밀도가 다른 금속이다. 그래서 서로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방법이 아니라,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해 컴퓨터로 대량의 후보군을 분류했다. 그 결과
지금
까지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찾아낸 외계행성의 수(1041개)보다 많은 외계행성을 단번에 가려낼 수 있었다. NASA 본부의 천체물리학분과 책임자 폴 허츠 박사는 “케플러우주망원경으로 알아낸 지식이 인류가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