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십만 년 전 어느 날, 한 구석기인이 계곡에서 뭔가를 열심히 찾고 있었다. 얼마 후, 냇가의 돌더미 속에서 주변과는 다른 뽀얀 돌을 집어 든 그는 여기저기 힘껏 두들겨 봤다. 쉽게 ... 인류 최고의 소재로 꼽은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인류 최초의 도구였던 플린트는 시작일 뿐이다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었고, 그 사이사이에는 작은 분자가 들어있었다. 영상이 시작되자 작은 분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작은 분자들이 모이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장 교수는 “팔면체 사이에 분자가 들어가게 되면 운동에 대한 활성화에너지가 작아져 외부전기장에 의해 쉽게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음악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이들은 음악을 통해 피부색이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기 시작했다.음악은 젊은 세대와 나이든 세대의 연결고리가 되기도 한다. 이는 음악치료사인 필자의 경험으로도 쉽게 알 수 있다. 가끔 음악치료에 오는, 질풍노도의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필자는 “아이들을 ...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속도가 느린 대신 정확도가 높은 것처럼, 각 감도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말한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 자기만의 감도를 찾아 똥손을 벗어나 보자. 너는 총을 쏘거라, 나는 계산을 할테니오버워치에는 군인, 닌자, 프로게이머, 유전자 조작 고릴라 등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사용하는 무기도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린코스놀랍게도 이미 60여 년 전부터 사람들은 외계인과 대화하기 위한 언어를 만들기 시작했다. 독일의 수학자 한스 프로이덴탈은 1960년 ‘린코스’라는 언어를 소개했다. 린코스는 ‘우주의 언어’라는 뜻으로 수학과 생물학, 언어학으로 이뤄져 있다. 린코스의 초반부는 롤백에서 소개하는 ... ...
- 인터뷰. 역설은 희망을 노래한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문제가 칸토어로 하여금 수학의 기초를 정립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만들었어요. 그렇게 시작한 게 ‘소박한 집합론’이고, 이발사의 역설 같은 자기 모순적인 역설에서 모순을 없애는 방법도 이 집합론 덕분에 가능했어요.Q 수학자는 아직도 역설 문제에 관심이 많나요?수학자는 역설을 새로 발견하는 ... ...
- Part 1. 물고 물리는 필승 주사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이기는 겁니다.패배가 계속되자 민준은 주사위 자체에 뭔가 꼼수가 있는지 의심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던 찰나 버핏이 주사위를 바꾸자는 의견을 냈어요. 망설이지 않고 바로 버핏의 제안을 수락했어요.그런데 역시나 게임에서 이기는 건 버핏! 대체 왜 버핏만 이기는 걸까요? 놀랍게도 주사위 2개를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 있어요. -처음 활동을 시작할 때는 학생이셨나요?최: 네. 그래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할 돈이 없었죠. 하하~. 돈을 마련하기 위해 우선 ‘레인(RAIN)’이란 팀을 꾸려 창업 공모전에 뛰어들었어요. 2014년 11월 ‘제1회 메이킹 모어 헬스 체인지메이커 발굴 프로젝트’에서 우승하고, 2015년 2월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형광 빛을 낼 수도 있다.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제 막 시작된 연구이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연구 결과들이 더 나올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단단했고, 어떤 향도 나지 않았다. 이 선임연구원은 “발효를 시작하면 향이 나기 시작하는데, 주로 과일 향이나 알코올 향이 나지 메주처럼 고약한 향이 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식품연 우리술연구팀이 보관하고 있는 전통누룩은 100여 개다. 10년간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전통누룩과, 고문헌에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