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해저 광구를 탐사하기 위해 연구팀은 일단 열수분출공의 위치를 찾는 ‘지자기 탐사’를 시작했어요.지자기는 지구가 갖고 있는 자성을 말해요. 지구 외핵을 이루고 있는 액체 상태의 철이 움직이면서 자성을 만들지요. 그런데 해저광물은 그 자체가 자성을 띠고 있어서 지자기와 다른 자성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거야!”파부르가 주먹을 꼭 쥐고 다짐했어요. 10초 전, 피에로가 크게 카운트다운을 하기 시작했어요.“10, 9, 8, 7, 6….”“저희 왔습니다!”5초 전, 노란색 체육복을 입은 세 사람이 차례로 뛰어들어 왔어요. 비밀과학수사대는 깜짝 놀라고 말았죠. 박나래 뒤로 들어온 지원군이 정답인 ‘우산이끼’를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피해도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어떻게 된 걸까.올해도 어김없이 시작됐다. 새해가 시작하자마자 칠레에서 산불이 발생해 서울 면적의 두 배가 사라졌다. 미첼 바첼레트 칠레 대통령은 “역사상 최악의 산불을 겪고 있다”며 피해 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3월에는 미국 중서부를 비롯한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툴리 괴물 논쟁의 다음 막이 오르기 직전이다. 또 어떤 논의가 시작될지, 흥미롭게 지켜보자. +더 읽을거리빅토리아 맥코이 외, ‘툴리 괴물은 척추동물이다’(doi:10.1038/nature16992)토마스 클레멘츠 외, ‘툴리몬스트룸의 눈이 척추동물과의 관련성을 밝히다’(doi:10.1038/nature176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내리는 것을 정확히 맞히자, 형식적인 내용의 알맹이 없는 답변이라도 답변을 보내기 시작했다.그 후에도 나는 꾸준히 글을 올려서 둑을 쌓아 달라고 거듭 요청했다.“지금까지보다 훨씬 더 심각한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드시 둑을 보수해야 합니다.”얼마 후에는 “선생님, 시청 방재팀 ...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일이 생겼어.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튜브 뮤직과 애플 뮤직이 한국 서비스를 시작했고 멜론도 개인에게 꼭 맞는 곡을 추천하겠다고 나섰거든. 이제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가 나 한 사람을 위해 음악을 추천하는 거야. 과연 힙스터에게도 유용할지 궁금하지 않아?인디음악★ ‘인디펜던트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18세기 후반 천부인권사상★이 프랑스를 흔들 때부터 여성은 수학계에서 밀려나기 시작했다. 해부학자들은 여성이 남성보다 뇌가 말랑말랑하다거나 두개골의 크기가 작다며 이성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걸 증명하려 애썼다. 이를 토대로 여성은 수학이 아니라 아이를 키우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동차 12만 대가 몰려 극심한 교통 체증이 계속됐다.2003년,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 사업을 시작하면서 청계 고가 도로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그러자 ‘도로를 없애면 지금보다 더 심한 교통 정체가 일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쏟아졌다. 그러나 청계 고가 도로를 완전히 철거한 이후, 서울 도심의 ...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처음으로 밝혀졌지요.연구팀은 인간의 명확한 발음 능력이 ‘긴꼬리원숭이’ 때부터 시작되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말했어요. 그리고 이번 연구 결과를 진화학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지요.저는 박사님을 도와 주러 가 봐야 할 것 같아요. 아쉽지만 다음에 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관찰하다가 멀리 있는 물체가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 망원경의 시작이었지요. 리퍼세이가 발명한 망원경은 약 3배 정도의 배율을 갖고 있었답니다. 스미스소니언 현미경과 망원경으로 멋지게 관찰해요!우리의 머리카락을 크게 확대하면 어떻게 보일까요? 달의 울퉁불퉁한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