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폭발하는가 하면, 땅이 부딪히며 지진도 자주 발생하지요.불의 고리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태평양판과 그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다른 판과 부딪히고 있는 지역이에요. 아시아의 동쪽과 아메리카의 서쪽을 따라 둥그런 모양을 이루고 있지요.이 지역에 특히 지진과 화산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물론 4×4×4(=43) 빙고판에서 구슬 6개를 고르면 빙고가 없을 수도 있다. 3차원을 n(충분히
큰
수)차원으로 늘려 빙고 칸의 개수가 4n이 된 다음 이같은 방법을 쓰면 빙고가 되는 경우가 반드시 있다.37일 만에 첫 문제 해결가워스는 지금까지 알아낸 내용을 인터넷에 공개하며 함께 문제를 풀자고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이 책을 펼치지 않고도 책 속 내용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9일자에 발표했다.MIT 미디어랩 바르막 ... 손을 대지 않고 내용을 알아내고 싶다며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이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내보냈다. 몸집이
큰
육식성 물고기일수록 인을 더 많이 배출했다.알제이어 교수는 “
큰
물고기를 잡는 지금의 어업활동은 바다 생태계에 꼭 필요한 영양소를 없애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8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큰
사람과 짱구처럼 뒷머리만
큰
사람 중 누가 더 똑똑할까. 이건 우문이다. 지능은 머리 크기나 모양보다는 뇌 주름과 관련 있다. 그렇다면 뇌 주름이 많을수록 똑똑할까? 놀랍게도 그것도 아니다. 오히려 조현병 환자가 정상인보다 뇌 주름이 훨씬 많다. 지나치게 많은 주름은 병과 관련이 있을 수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해부해 보는 실습 시간도 있었다. 축의 바다에는 우리나라에서 보던 것보다 3~5배 가량
큰
해삼들이 지천에 널려 있다. 해삼 잡이는 축 현지인들의 몇 안 되는 수입원 중 하나다. 현지인의 도움을 받아 단원들이 직접 잡은 해삼과 물고기는 이날 도마가 아닌 수술대에 올랐다.“물고기 배를 가르고 뇌,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유전자 끼리끼리’를 핵심으로 하는 유전적 근연도 이론을 확립한 윌리엄 해밀턴은 드디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해 학술지에 발표했다. 그런데 얼마 안 돼 ... 불신이 쌓이면서, 두 거인 메이나드 스미스와 해밀턴은 평생 어색하고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다. 더
큰
갈등은 다음 회에 터진다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at Harvard University, 아래 사진)’도 바로 이곳 주민입니다.하버드 비스 연구소의 가장
큰
장점은 내로라하는 연구자들과어깨를 나란히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프트 로봇의 성지하버드 비스 연구소는 지난 여름 가오리와 문어 소프트 로봇을 각각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한 달 간격으로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프라이머는 목표 유전자의 원하는 부위에 달라붙어서 DNA중합효소가 유전자를 복제하게 만들어 준다. 그런데 유전자 맞춤형 프라이머를 제작하는 게 너무 어려웠다. 3만~ 4만 개인 사람의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숲에 사는 동물들에게 이정도의 기온 차이는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큰
것이랍니다.프레이 박사는 “숲의 모양이 기온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며, “오래된 숲을 지켜야 지구환경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