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 비우고 운전해야 빨리 간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것보다 늦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도심의 도로에서는 머리를 굴릴수록
결국
은 더 늦어지는 셈이다.이 연구결과는 물리학 저널인‘유로피직스 레터스’에 실릴 예정이다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7m 가까이 됐을 것이다. 이 정도의 망원경을 쏘아 올리려면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결국
망원경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려면 냉각장치를 최소화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었다.지구 공전궤도 택해 초경량화 달성이를 위해 NASA가 고안해낸 것이 ‘지구공전형 궤도’(Earth-trailing heliocentric orbit)다. 보통 ... ...
초고층 아파트를 지탱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인데 많은 사람들이 오가기 때문에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하고,
결국
자동차 배기가스가 많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공에서 부는 바람이 초고층 건물에 부딪혀 곧바로 지상으로 내려오는 빌딩바람도 문제다. 빌딩바람은 도시에 떠다니던 먼지를 건물 주변으로 가라앉게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존 코너의 존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두가지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첫째
결국
기계와의 전쟁은 시작되며 존 코너는 인류 저항군의 지도자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사라지지 않고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해석은 역사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존 코너가 사라지지 않은 이유는 기계와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관련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이때 생산된 장기 기억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신경전달물질은
결국
감각 신경세포의 시냅스를 강화시켜 일정 자극을 장기적으로 기억하게 한다.인간의 경우는 어떨까. 두뇌의 측두엽에 있는 해마는 인간을 비롯한 고등동물의 기억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마의 ... ...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복구하는데 온 힘을 쏟고 있는 영국인들에게 이 제안은 한가한 공상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V-2를 이용한 유인 우주비행은 1961년 미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이뤄졌다. 비록 V-2 자체는 아니었지만 설계자인 폰 브라운이 미국으로 망명한 후 만든 것으로 V-2와 별반 다른 점이 없었다. 이 유인 비행은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발견한 장본인이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발기 현상은 여전히 수수께끼였고
결국
위와 같이 잘못된 결론을 내리고 만다.현대 의학의 연구 결과 발기는 중추신경계, 즉 뇌와 척추의 완벽한 통제 아래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남성들이 여전히 다 빈치의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소용돌이 흐름(순환류)이 발생해 동해고유수의 상단면이 해면 부근까지 상승한다.
결국
연직대류가 더욱 일어나기 쉽고 해수는 더욱 깊은 곳까지 침강해 동해고유수를 보충한다.동해고유수는 수온은 약 1℃ 이하고, 염분은 약 34.01‰ (퍼밀, 바닷물 1kg에 함유돼 있는 염분의 그램(g)수)이며,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개체 하나만 있어도 세대가 여러 번 바뀌면 개체들이 모두 이기적인 놈으로 변해
결국
개체군이 소멸하고 말죠. 이런 상황에서는 랄슨의 나그네쥐에서와 같이 이타성이 진화할 수 없습니다.하지만 오른쪽 그림은 뭔가 달라요. 거기서는 이기적인 놈들은 이기적인 놈들끼리 이타적인 놈들은 이타적인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남아 있는 부숙토는 농작물이나 유실수에는 쓸 수 없어 마땅한 사용처가 없다.
결국
하수 슬러지는 비용이 드는 부숙토화 과정 대신 매립되거나 축산폐수처럼 인근 바다에 그대로 버려지고 있다.연구자들은 폐광지 토양과 부숙토를 3:1로 섞고 여기에 박달나무 묘목을 심었다. 이 묘목은 폐광지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