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현관문 위에 매달려 있는 겨우살이 장식 밑에 우연히 같이 서있다가 키스를 하면서
결국
결혼에 성공하게 됩니다.이 풍습은 북유럽의 신화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사랑과 빛의 신인 발다르는 자신이 곧 죽게 되리라는 꿈을 꿉니다. 그러자 발다르의 어머니인 프리그가 땅위에 발붙이고 사는 모든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따라 열펌프의 효율이 다르다. 특히 열펌프는 물에서 100 정도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는 전기에너지 35를 생산하는데 드는 석유에너지 100를 투입하면 전기에너지를 통해 얻는 열 35와 자연열원에서 얻는 열에너지를 더해 105-135의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열펌프는 다른 ... ...
대장금의 손맛 비결은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양념이 똑같아도 손의 동작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는 것이다.재료의 결을 고려해 자른다
결국
한 원장의 주장은 손맛이 바로 손의 움직임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그녀는 “손맛이 손끝에서 기가 전해진다거나 무슨 화학적 성분이 나오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즉 손맛은 기나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출발한 빛은 수백억년 동안 방황을 거듭한 뒤 다시 원래 시작점으로 되돌아오게 되며,
결국
이 때문에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별들 중 상당수가 반사된 이미지라는 주장이다.케이프타운대 조지 해리스 교수는 이에 대해 “우리가 볼록하게 굽은 모양의 기하학적 공간속에 살고 있다”고 설명한다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해부학적인 실체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 뚜렷한 결과를 발표한 곳은 없었다.
결국
정리하면 현재 경혈과 경락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 즉 기능만 있다는 관점, 신경계의 복합적 작용에 불과하다는 관점, 그리고 해부학적 실체가 존재한다 관점으로 나뉜다. 이 중 신경학적 관점이 가장 널리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폭발사고 이후 NASA의 안전제일 원칙에 따라 우주왕복선에 많은 장비를 싣지 못하게 됐다.
결국
갈릴레오는 목성까지 가는 데 필요한 힘을 얻기 위해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는 방법을 선택했다.갈릴레오는 금성과 지구 사이를 세번 왔다갔다 하면서 중력의 도움을 받아 목성으로 향했다. 마치 줄에 다 ... ...
물 이용한 새로운 발전법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마찰에 의해 음전하를 띤다. 여기에 물이 흐르면 H+만 흘러가고 OH-는 제자리에 남는다.
결국
양전하와 음전하가 서로 반대쪽에 모여 전지의 양극과 음극이 형성된다.연구팀은 초미세관을 40만-50만개 모여있는 지름 2cm, 두께 3cm의 유리 필터를 사용했다. 이때 얻는 전기생산 정도는 전압 10V(볼트), 전류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자멸하고 만다.부분적으로 이런 이유 때문에 커피 농장은 10-25년마다 자리를 옮긴다.
결국
커피나무는 인류가 가장 사랑하는 약물을 만들어주며 사람들의 돌봄을 받는 대가로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셈이다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핵변환의 발견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핵분열이 발견돼 핵에너지 시대에 진입하게 됐다.
결국
20세기 과학은 X선의 발견을 계기로 해서 새로운 모습을 갖춘 셈이다.X선이 진단방사선학에 이용되는 이유는 투과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인체를 투과해 그 속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은 X선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스스로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들 DNA의 염기서열도 박테리아와 비슷했다.
결국
인체는 20억년 전에 입주한 박테리아의 활동덕에 에너지를 얻어 살고 있는 셈이다.그렇다면 몸의 주인공은 나인가, 미생물인가? 대답에 앞서 도대체 이런 질문이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하게 된다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