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놓을 수 있는 구멍과 핀을 꽂을 수 있는 구멍 모두 5개입니다. 행의 총 개수는 그대로 12개이니 머리를 좀 더 써야겠죠? 김종락 서강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포스텍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물류 창고에서 선반을 운반하고 있지요. 아마존의 물류 센터 120여 곳 중 현재까지 17개의 물류 창고에 10만 대가 넘는 키바들이 배치돼 있어요. 키바 로봇들은 정신없이 무거운 선반을 나르고 있지만,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답니다. 키바로봇에 달린 센서가 정면의 장애물이나 다른 로봇을 인식하면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원안위는 5월 14일 방사선 전문가들로 구성된 ‘라돈 내부피폭 기준설정 전문위원회’를 개최하고 내부피폭선량 을 안전 평가에 반영하기로 결정했다. 위원회에 참여한 진영우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은 “몸 밖보다는 몸 안에서 일어나는 피폭이 더 위험하다”며 “침대의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받고 있다. 포항지진은 국내 지진 피해 사상 가장 큰 피해를 남겼다. 이로 인해 지열개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생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지열에너지는 우리가 포기할 수 없는 자원이라는 것도 사실이다. 이번 포항지진으로 인해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건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이 우리나라에는 아직 없다. 현재 건식저장 기술을 개발 중이고 2024년까지는 완료할 예정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프리미엄 리포트 Intro] 남북협력 시나리오[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향후 이들 빔을 한 데 모아 치료에 활용하는 ‘콤비네이션 세러피(Combination Therapy)’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박 교수는 “피부, 근육, 뼈 등 신체의 각 부분에 가장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에너지의 크기는 모두 다르다”며 “각각의 장점을 모으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역사상 유래가 없는 어마어마하게 높은 점수로 1위를 달성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2년 2개월 뒤 지구에 소행성이 정면 충돌한 뒤에는 그 기록을 기억하는 사람은 없었다. 곽재식화학자 겸 작가. 2006년 웹진 거울 32호에 발표한 단편 ‘판소리 수궁가 중에서 토끼의 아리아 : 맥주의 마음’이 MBC ... ...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않았지만, 작년부터는 학생들의 준비를 돕기 위해 홈페이지에 전년도 기출문제를 공개하고 있다. 박 부장은 “문제가 어려워 보이지만, 중학교 수준의 지식으로 충분히 풀 수 있도록 출제하고 있다”며 “평소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변형해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보는 훈련을 하는 것이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권에서 이렇게 지각변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이유는 지각이 크고 작은 10여 개의 판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판은 지각과 상부 맨틀의 일부를 포함하는 약 100km 두께의 단단한 암석이다. 그 아래로 100~400km 깊이에는 부분적으로 용융 상태인 ‘연약권’이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이 생겨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소장품은 1억 원 상당의 가치가 있지요. 꽃돌을 처음 발굴할 때는 세포 같은 모양이지만 8개의 가공단계를 거치면 아름다운 꽃돌로 탄생하게 돼요. 박물관에는 두꺼비 모양의 꽃돌이 있었어요. 이 꽃돌은 소원을 이뤄준다고 해서 부모님과 함께 소원을 빌고 왔답니다. 여러분들도 청송에서 신비로운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