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현장이다.2009년 특허청은 발명에 재능이 있고 관심이 있는 ‘발명 장학생’을
100
명(대학생 10명 포함) 선발했다. 그중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90명이 창의발명캠프에 참여했다. 이 캠프는 발명 장학생이 미래의 인재가 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발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국내뿐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방식으로는 더 이상 물관리를 하기 어렵다는 걸 깨달았다.보통 하천은 수십 년에서
100
년 또는 200년에 한 번 있을 만한 홍수를 상정하고 둑을 쌓는데, 이처럼 수백 년 또는
100
0년에 한번 올 홍수가 국부적이긴 하지만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해 모든 곳에 새로 둑을 쌓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조혈모세포는 적혈구로 분화하면서 핵이 사라지고 가운데가 움푹 팬다. 그런데
100
개 중 1~2개꼴로 핵이 사라지지 않은 적혈구(미성숙한 적혈구)가 탄생한다. 미성숙한 적혈구는 골수 밖에서 돌아다니다가 스스로 핵이 없어지는 분화과정을 거친다. 전문가들은 미성숙한 적혈구가 전체의 1~2%를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릇의 이름은 광결정(photonic crystal).양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을
100
% 반사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에 공간을 만들면 빛이 밖으로 새나가지 않게 가둘 수도 있다. 또 길을 만들면 빛이 그 통로를 따라 이동해 일종의 광 집적회로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반도체가 전류를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조금씩 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술이 성공을 거두려면 지름이 약
100
㎞인 소행성을 적어도 6000년 에 한 번씩 지구에 접근시켜야 한다.이것은 현재로서는 거의 불가능한데다 자칫 잘못하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하지만 먼 미래에 인류가 살아남는다면 ... ...
편안한 눈, 즐거운 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것이다. 소리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더 멀리 전파된다.기차가 지나갈 때 웅~ 하는 소리도
100
Hz의 저주파에 해당한다. 버스를 타고 있으면 들리는 낮은 엔진음 소리도 마찬가지다. 저주파음은 음높이는 낮지만 음의 세기가 록밴드가 연주할 때와 비슷한 95~110데시벨이나 된다. 잘 안 들릴 뿐이지 굉장히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높이는 앉은 자세에서 무릎 뒤쪽, 즉 오금의 높이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전체 한국인을
100
명이라고 두고 오금 높이가 짧은 순으로 5번째인 사람과 95번째인 사람의 치수에 옷 두께와 신발높이에 해당하는 3.5cm를 더한 값이 기준이다. 그 결과 한국인을 위한 의자는 높이가 39~48cm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들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몇 가지입니까”라고 묻는 것은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이 몇 가지냐고 물은 것이다. 동전을
100
번,
100
0번 던지더라도 동전에서 나올 수 있는 면은 딱 두 가지, ‘그림면’과 ‘숫자면’이다. “가위바위보에서 한 사람이 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얼마입니까?”라는 물음에 “한 가지!”라고 답하면 안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세대전 8명n세대전 ${2}^{n}$명20세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당시의 인구가 현재 인구보다 대략
100
만 배나 많게 됩니다. 현재보다 과거의 인구가 훨씬 많았던 것일까요? 물론,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겹치는 사람을 모두 다 셌기 때문입니다. 모든 부모가 한 명의 자식만 낳는 것은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속도로 350km 상공을 도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모습도 담을 수 있다.고속 천체망원경은
100
억 원대로 레이저시스템보다 싸다. 또 레이저 추적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가 제공하는 위성궤적(TLE) 정보를 참고해야 하지만 고속 천체망원경은 정체불명의 위성의 형태까지 포착한다.구름이 잔뜩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