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0kg, 최고 속도 시속 100km인 이항 184는 118kg을 실을 수 있지만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비행시간이 최대 23분에 불과하다. 아직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비행하는 모습을 공개한 적은 없다. 이 교수는 “헬리콥터보다 소음과 진동이 적고 조종하기 쉽다는 장점 때문에 드론을 이용해 플라잉카를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음이 만드는 선율이고, 화성은 화음의 시간적 흐름이다.그런데 음악은 사진과 달리 시간에 따른 흐름이 중요하다. ‘도레미’와 ‘미레도’는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컴퓨터에게 멜로디를 가르친다면 음의 순서도 함께 알려줘야 한다. 예를 들어, 도레미파솔라시도의 8음계만 연주하는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다. 좋아하는 책을 읽거나 기다리던 영화를 보는 일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가끔 시간이 느려지기도 하고 짧아지기도 하는 것과 같은 착각에 빠지는 경험을 한다.설 소장은 “최면 의자에 앉아서 흔들리는 시계추를 보면 눈물을 흘린다는, 최면에 대해 잘못 알려져 있는 고정 관념을 깨야한다”면서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특별한 재료나, 반죽을 최적의 상태에서 발효시키는 기계가 탄생하게 됐다. 아주 기나긴 시간 동안 역사적인 경험과, 제빵사 개개인의 노하우로 만들어져 왔던 빵이 과학의 도움으로 더욱 더 맛있게 재탄생한 셈이다.한국의 빵은 광복 이후 탄생그렇다면 오랫동안 서양에서 주식이었던 빵이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 100년이 훌쩍 넘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생물도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라 진화하기 때문에 빵맛을 점점 잃는다”고 설명했다. 발굴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로운 효모가 발효능력이 뛰어나다는 얘기다. 결국 SPC 그룹 연구팀은 전국 방방곡곡으로 새로운 한국 토종 효모를 찾아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먹기 위해 모형벌을 따라 공을 굴렸어요. 실험을 반복할수록 공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점점 짧아졌지요. 뒤영벌이 새로운 상황을 확실히 배운 거예요.연구팀은 이 실험을 통해 훈련된 뒤영벌들이 공을 옮기는 모습을 실험에 참가하지 않았던 뒤영벌들에게 보여 줬어요. 그러자 그 중 99%가 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자단 친구들은 다시 연구실로 돌아와 박재흥 교수님과 로봇 공학자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어요.“다이로스 제트가 밸브를 돌리는 모습이 가장 신기했어요!”“전 무인자율주행 자동차요! 어린이들도 빨리 혼자 차를 타고 어디든 갈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기자단 친구들이 앞다퉈 ...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닷물에는 염분 외에도 여러 물질들이 많은데, 이들이 막의 구멍을 막아버려요. 그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염분을 거르는 효율이 줄어들지요. 그래서 주기적으로 막을 바꿔 줘야 한답니다.남은 바닷물을 처리하는 문제도 있어요. 물이 빠져나가 염분이 높은 상태가 된 남은 바닷물을 그대로 바다에 ... ...
- [수학뉴스] 수학만 허락한 시간여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돌아가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어요.과거로 향하는 것처럼 보이는 그 때가 바로 과거로 시간여행을 하는 때이지요. 연구팀의 벤 티펫 박사는 “타임머신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아직 그것을 만들 재료가 없다는 게 문제”라고 아쉬워했어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이길 확률은 남은 5시간 중 2시간에 해당하는 비율인 2/5야. 반대쪽의 승률은 3/5이나 되지. 시간이 흐를수록 내기에서 이길 확률은 줄어들고, 내 선택에 대한 후회는 커질 거야.후회에 관한 원칙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알란 헤이젝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이 문제와 비슷한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