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야구, 축구, 배구, 농구, 미식축구 등 TV에서 중계해 주는 모든 방송을 봅니다. 실제로 모두 재미있어요.”누가 좋은 수학자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수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당부의 말을 전했다. 수학을 좋아하지만 수학에 재능이 없어서 수학자의 꿈을 포기한다는 학생이 ...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축삭의 말단이 정확하게 연결돼야 한다. 최근까지는 이때 필요한 단백질이 모두 뇌세포의 몸통인 세포체에서 합성된다고 알려졌다. 그런데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호성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크리스틴 홀트 교수팀과 함께 축삭이 자체적으로 말단에 저장된 RNA를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였다. 베스트는 보기보다 꽤 무거웠다. 베스트를 장착한 뒤 HMD를 쓰자 시각과 청각까지 모두 막혀 마치 혼자만의 세상에 있는 것 같았다. 방향감각이 없어 여기저기 두리번거리는 기자의 손에 권홍재 모션테크놀로지 연구소장은 “손전등”이라는 말과 함께 물체를 쥐어줬다.“이제 영상이 시작되면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플룸)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역시 활동성이 없다. ‘삼선’ 해령의 기원이 모두 다른 셈이다. 비밀 2. 북극해 활짝 연 두 번의 균열북극해의 진화는 그동안 불가사의한 일로 손꼽혔다. 육지가 바다가 된 것도 신기하거니와, 해빙으로 뒤덮여 그 변화 과정을 알아볼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복잡한 사회 구조를 지니게 된 비결 중 하나도 이런 약용식물일 것이다.영장류와 인간 모두 비슷한 방식으로 질병을 치료한다. 자가치료 행동은 오래 전 우리 인류와 아프리카 대형 영장류 조상의 삶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의 인류학자 카렌 하디 박사팀이 ... ...
- 건전지VS충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한편 리튬이온 전지는 (+)극에 리튬 금속 산화물이, (-)극에 흑연이 있어요. 두 물질 모두 리튬이온을 저장할 수 있지요. 전지를 사용할 때는 (-)극에 저장된 리튬이온이 (+)극으로 이동한답니다. 이 과정에서 전자가 함께 이동하며 전기에너지를 만들지요. 반대로 충전을 하면 (+)극으로 이동했던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다른 비율로 합치는 것만으로도 가시광선에 속하는 모든 색깔을 만들 수 있으며, XYZ를 모두 섞으면 하양이 된다(X+Y+Z=1). X와 Y가 뭔지 알면 Z도 당연히 알 수 있어서, Z를 제외하고 X와 Y로 2차원 좌표를 만들었다. 반타원 모양으로 펼쳐진 그래프 안에는 가시광선의 모든 색깔이 다 들어간다. L*a*b*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때문에 교사라는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고 던 조 대표가 창업을 한다고 하자 가족, 친구 모두 그를 만류했다. 하지만 그는 이를 뿌리치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위해 창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기자는 그런 그에게 실패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은 없었는지 궁금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 ...
- [수학동아클리닉]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등식 도미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문제와 해 카드를 바르게 짝짓고 옳은 풀이를 적은 뒤 돌려준다. 문제와 해의 짝이 모두 맞은 팀에겐 ‘너희 조는 완벽해!’라고 쓴 다음 돌려준다.7. 전지를 돌려받은 뒤 상대방 조의 검토를 확인한다.8. 가능하다면 완성된 도미노를 교실에 게시한다.남들과는 다른 멋진 모양의 도미노를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별이 아무리 파란빛을 많이 방출해도 대기 중 중원소가 이를 모두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결국 빨간색으로 보인다.그러나 별의 색깔에 훨씬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별의 표면온도다. 약 1만K(1K은 영하 약 273℃)를 기준으로 이보다 뜨거우면 일반적으로 별은 파랗게 보인다.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