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정보의 바다'에는 암초가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아니다. 현재 인터넷을 사용하면서도 영어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하기 꺼려하는
국내
사용자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또한 인터넷상에는 수많은 약어들과 전문언어들이 만들어져 새로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인터넷은 문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세상이다. 이 때문에 인터넷상에는 수 많은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계속해서 나올 정도로 입방 경쟁률이 높았기 때문이었다.나우누리 천리안 하이텔 등
국내
의 대형 PC통신망을 일주일 정도 부지런히 들락거리면서 파악한 우리 PC통신의 현실은 초창기 '가능성의 매체' 로서 품었던 기대를 무너뜨리기에 충분한 것이었다.김완섭과 신모라우리나라에 PC통신이라고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주파수는 국제적으로는 1백46-1백74MHz, 4백50-4백70MHz, 8백6-9백60MHz대 등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
에서는 1백60MHz대를 사용해 오다가 92년부터는 제2사업자(한국이동통신 이외의 무선호출 사업자)의 등장으로 3백20MHz대도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다.라디오는 이미 정해진 주파수로 방송을 내보내면 청취자는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뿐만 아니라 일의 중요도에 따라 마감일이나 분류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
제품들은 한국적 특성을 살려 음력/양력 자동변환과 같은 기능을 포함해 각 항목마다 즉각 메모, 약도기능 같은 우리만의 문화적 특성을 담고 있다.시중에 나와 있는 제품은 도스용과 윈도용으로 수십종에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개최된 한국정신과학학회 제1차 학술대회에서 손가락 초시(超視, eyeless sight) 능력이
국내
최초로 공개됐다. 초능력 시연을 보여준 신유미양의 능력은 가히 의심할 여지없는 세계적 수준이었다.신양은 2백여명의 참석자들 앞에서 특수 제작된 눈가리개로 눈을 가린채 참석자가 즉석에서 내준 책과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것이다.한편 신장 이외에 농구 선수의 신체 조건에는 손바닥의 크기도 들어간다.
국내
에서 실시된 한 연구는 손바닥의 크기, 특히 손바닥의 길이보다는 너비가 슛의 성공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중은 그다지 중요한 요인이 아니다. 대부분의 슛이 이루어지는 점프 동작을 ... ...
3. '법없는 세상' 자율통제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악의적 비난의 글이 오르며 욕설로 채워진 글들이 화면을 장식하기도 한다.얼마 전
국내
모 인터넷 교육기관에서 초보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교육을 실시한 적이 있다.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 적이 있다.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던 중 뉴스그룹을 ... ...
3.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러한 추진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내
산업체의 참여는 필수적이다.아리랑1호는
국내
많은 연구기관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그 주관을 맡은 항공우주 연구소는 위성 시스템 설계와 기술 개발, 위성 본체의 설계와 개발, 그리고 종합 조립 시설과 시험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또 우리별을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정밀탐사위성(2012년) 등의 저궤도위성을 자력으로 발사한다는 것이다. 주목을 끄는 것은
국내
위성발사장을 우리나라 남쪽 지역에 건설하겠다는 안이다. 또 아태공동발사장을 건설하는 것도 안으로 제시됐다.● 위성이용분야 : 통신방송과 지구관측 등 위성이용 핵심기술의 자립에 초점을 두고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차원에서 결정 할 사항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 결정을 존중해주는 것이 옳을 것이다.
국내
의 몇몇 철학자는 비교적 적극적으로 뇌사의 사망판단을 인정하면서도 이에 따른 부작용을 걱정하기도 한다. 일본의 경우 철학계의 일반적인 경향은 보수적이지 않은가 하는 느낌이다. 극단적인 예로 인간의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