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안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미국에서도 CDMA는 상용화가 안된 최첨단기술로 아직 충분하게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국내
에서 서비스의 성공여부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한글을 두개의 문자로 보고 작동하다가 실행중 다운되는 커스텀 컨트롤도 상당히 된다.
국내
에서도 소프트웨어의 생산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서서히 툴이나 커스텀 컨트롤 시장이 부각되고 있지만, 2바이트 지원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난관에 부닥쳐 있다. 볼랜드사의 델파이도 초기에는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때마다 화면엔 해외 유명 대학의 이름이 찍혀나왔다. 그 광고가 아직까지도 해외 학위를
국내
학위보다 더 인정해주는 현실의 상황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그러나 언젠가는 해외 CF에 KAIST가 기술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날이 올 것이라 기대한다.KAIST를 세계에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정부는 수수방관윈도95용 한글코드를 둘러싸고 벌어진 이번 한글코드 논쟁은 사실
국내
컴퓨터 사용환경 및 산업구도가 짜여지기 전인 8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돼 왔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정부는 행정전산망을 포함한 5대 국가기간전산망사업 시행을 앞둔 87년 통신이나 네트워크 전송 효율성을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도스 환경에서 윈도 환경으로 바꾸는 기폭제 역할을 맡게 되었다. 한편 이 CD타이틀은
국내
CD롬 시장의 성장에도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시험판 CD 타이틀을 손에 쥔 사용자들이 워드와 함께 제공된 6백MB 분량의 셰어웨어를 쓰기 위해 경쟁적으로 CD롬 드라이브를 구입하기 시작한 것이다. 당연히 ... ...
4. 좌담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밤샘 토론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래서 아직 대학 생활을 5년째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KAIST만한 네트워크를 가진 곳이
국내
에는 없지요. 컴퓨터 앞에 앉으면 바로 그곳이 인터넷이니까요. 제가 제 1회 인터넷 정보 사냥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한 것도 제가 잘 했다기 보단 다른 사람들이 잘 못찾았기 때문이에요. 처음에는 유닉스를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표단은 한글 1만1천1백72자를 모두 국제 표준에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그때까지
국내
표준도 2천3백50자만을 지원하고 있었고 전체 코드 영역의 4분의 1을 우리에게 내주기 싫어하는 중국 일본 등의 반대로 어중간한 절충안을 받아들였다.그러다가 ISO가 작년부터 10646의 개정 작업에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위성의 운용과 통신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게 활용된다.이와 같은 필요성을 느낀
국내
몇몇 연구기관들은 얼마전 관련 연구에 착수했다. 보현산천문대와 전파연구소는 태양활동이 전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과학기술원 물리학과도 태양 및 우주환경이 위성에 주는 효과에 관심을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않다. KAIST만을 위한 정부의 특별배려는 기대하기 힘들고 동등한 조건하에서
국내
외 유수 대학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할 입장이다.이제 KAIST는 정상에 만족하고 안주해서는 안된다. KAIST는 현재 세계 톱 10의 비전을 갖고 여러가지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고등과학원 설립과 운영,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있다. 초능력은 이 중 잠재능력 분야에 속한다.역사가 짧고 별다른 지원이 없는 탓에,
국내
의 많은 전문가들과 초능력자들이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아직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박병운 상임이사는 “조만간 갖출 실험시설과 연구소 확장을 계기로 내년에는 보다 성과있는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