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름으로 바꿔서라도 물리학과를 유지하려는 대학도 있다.상황이 이렇게 된 이유로
전문
가들이 한결같이 지적하는 요인은 “학생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물리학과에 진학하는 학생 수가 줄었고, 학부를 졸업한 뒤 대학원에 진학하는 대학생 수도 줄었다. 이 정도면 한국에서 물리학은 위기를 맞고 ... ...
세계를 자석으로 끌어당기는 기업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김상면(59) 대표는 자타가 공인하는 ‘일 중독’ 엔지니어다. 맨손으로 시작해 전자부품
전문
업체 자화전자를 매출 1200억원이 넘는 중견기업으로 키워내고도 “70대 후반까지 일하는 것이 꿈”이란다.“사업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밤늦게 회사에 나와 돌아보고 나면 힘을 얻는다”는 그는 지칠 줄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걸요.”하고 제가 썼죠. 그럴 리가 없었어요. 그럴 리가. 은경이 역시 글을 썼으니까요.
전문
작가는 아니었지만 꾸준히 글을 냈었죠.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에요.하여튼 그 여자 때문에 인생을 마감할 수가 없어요. 아니 원고조차 마감할 수가 없어요. 영어로 쓴 거면 *&%*# 뭐 이런 식으로 그 글자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우주인은 과연 누가 될까? 현재 우주인 선정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중심으로 관련
전문
가들이 협력하여 선발 기준 및 과정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사업을 주관할 기관 선정이 진행되고 있어서 2006년도 내에는 우주인이 선발되리라 예측된다.우주인은 신체조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학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먼 바깥쪽에서 만들어진 후 현재의 자리로 이동했다는 증거를 찾아내 미국의 과학
전문
지‘사이언스’에 발표했다.서울대 천문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김삼 연구원은 한국과학재단 해외공동연구지원사업덕분에 지난해 6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넘게 CFHT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관찰한 사실이나 연구결과를 얼마나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지가 중요한 이유다. 과학
전문
지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NSF)은 '2005년 국제 과학기술 시각화 대회'의 수상작을 최근 발표했다. 과학자의 연구결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려는 취지로 마련된 이 대회는 2003년이 첫 회였고, 올해로 세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김재현 연구원의 설명이다.부대를 출입하며 군사 정보를 다루다 보니 학생들도 군사
전문
가가 됐다. 한 여학생은 해병대에서 시뮬레이터를 시연할 때 군 장성들에게 “교관 하셔도 되겠다”는 말까지 들었을 정도다.김 교수에게 군과의 인연을 물었더니 “1975년에 임관한 ROTC 13기”라고 대답한다.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1963년 이래로 양자광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국내에서도 최근 양자광학
전문
가가 증가하고 있고, 아토초 레이저와 빛-물질 상호작용을 비롯한 레이저 분광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5 노벨상 세상을 사로잡다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2.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과학의 뿌리는 수학이다’로 요약할 수 있다. 연구소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전문
성을 갖춘 박사들도 ‘뿌리’를 강조하는 장 고문의 말에 수긍할 수밖에 없다.그렇다면 뿌리를 갖춘 다음에는?“누구에게나 인생항로에서 두 가지 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닥칩니다. 이럴 때 ... ...
문화재종합병원 개원 준비 중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완공되면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의 보존처리 기관과 기술협약을 맺고
전문
인력 교류를 추진해 문화재 보존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시칠리아복원연구소(CRPR) 한 곳에도 60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시칠리아섬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