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처녀생식으로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기술을 확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국내 한 줄기세포
전문
가는 “설사 처녀생식으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실제로 의학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다시 꾸는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소비자의 판단에 따라 최종 승자가 결정될 것이다. 현재 어느 방식이 성공할 지는
전문
가들조차 여러 의견으로 갈라져 있으므로 결국 시간이 최종 승자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4세대 광정보저장기술도 어느 것이 미래 핵심 기술로 발전할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위의 4가지 기술 중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규명서울대 김성훈 교수팀이 p18 유전자가 암 억제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과학
전문
지 ‘셀’에 발표했다. 서울대 백성희 교수팀은 ‘KAI1’이라는 유전자가 암전이 억제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네이처’에 발표했다.09_세계 최초, 정부 ‘과학기술 국채’ 발행 결정정부는 미래 성장동력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불임 치료 후 남은 수정란을 키워 얻은 것이기 때문이다. DNA지문검사 이외에는
전문
가들조차 두 종류의 줄기세포를 구별할 방법이 없다.이에 대해 황 교수는 12월 16일 기자회견에서 “누군가가 줄기세포를 미즈메디병원 것과 의도적으로 바꿨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12월 22일 검찰에 수사요청서를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닦았다.벨과 그로브너는 과학의 범위를 자연사(natural history) 분야로 넓혀 잡았다. 어렵고
전문
적인 과학논문 대신 자연과 사람들 모습을 모두 사진에 담아 읽기 편한 문체, 재미있는 기사들로 잡지를 채워갔다. 이러한 벨의 편집전략은 당시 세계로 팽창하던 미국 제국주의의 동력과 획기적으로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체트카엠(ZKM)의 경우 단순한 전시장 개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작가와 공학자, 미디어
전문
가가 함께 작업하는 공방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하지만 만남의 형태로나, 지속성 측면에서 ZKM은 최근 예술과 과학의 만남을 거론하고 있는 한국현대미술에 몇 가지 시사점을 던진다. 예술과 과학의 ... ...
보르네오 밀림에서 정체불명의 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반 연구를 주관한 WWF의 스티븐 월프래트 박사는 “사진을 본 현지 주민이나 야생동물
전문
가들도 처음 보는 동물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런던동물학회의 닉 아이작 박사는 “이번 발견만으로 이 동물이 새로운 종인지 밝히는 것은 어렵다”며 “이 동물의 털을 얻는다면 모낭에 들어있는 DNA를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1996년 우주인 배출 논의가 시작된 지 꼭 10년 만에 성사된다는 점에서 의미는 더욱 깊다.
전문
가들은 우주인 선발과정을 통해 얻게 될 노하우와 산업적 기대 효과는 상상 이상일 것이라고 평가한다. 우주인이 어떻게 선발되기에 이런 평가가 나오는 것일까.벌써부터 최초 우주인이 누가될 것인가가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섞였다는 것이 한류와 무슨 관계일까. 한국인은 ‘잡종강세’의 전형적인 집단이다.
전문
용어로는 ‘이형접합자 우세’(heterozygote advantage)라고 한다. 쉽게 말해 상당한 세대 동안 안정화 과정이 필요하지만 섞일수록 우세해진다는 것이다.유전자 수준에서 열성 유전병 인자를 정상과 열성 유전자를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지적한다. 분석은
전문
지식과 면밀한 분석력을 갖춘 연구자들에게 맡겨야 한다는게 많은
전문
가들의 생각이다. 논란을 촉발시키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IT)이 순기능을 할 지 역기능을 할 지는 결국 이용자들의 몫인 셈이다.김상욱 교수는 “미국국립보건원(NIH)나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