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없음이 서로 넘나드는 것이
물리
학과 불교가 꼭 닮았죠.”양 교수는 이처럼 불교와
물리
학을 넘나드는 독특한 글을 한 중앙 일간지에 2년 동안 연재해 화제를 낳았다. 그 글들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 이번에 나온 ‘과학으로 세상보기’다.“어렸을 때는 할머니 손에 이끌려 절에 다닌 기억이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다. 헝가리 출신 생리학자인 게오르크 폰 베케시 박사는 내이에 있는 기저막이 부위별
물리
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는 소리의 주파수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해 196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코르티 기관에 속해 있는 기저막은 중이와 연결된 내이의 기저부에서부터 첨부까지 뻗어 있다.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이 죽고 근육이 퇴화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영국의 유명한
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 이 병을 앓고 있다.윌머트 박사는 “사람 대신 줄기세포로 신약을 테스트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연구이며 복제된 줄기세포를 인체에 넣어 신경 기능을 재생하는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알려 주고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는
물리
교과서를 만들고 있어요. 교수님께 만든
물리
교과서는 정말 재미있을 것 같죠? 교수님은 호기심과 경험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강조하십니다.“가능성이 많은 어린이들은 다양한 것에 흥미를 가지고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재미있는 일을 ... ...
펜타쿼크, 유령입자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착오였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최근 열린 미국
물리
학회에서 발표했다. 이탈리아 국립핵
물리
연구소 데 비타 박사도 “실험에서 쿼크를 보지 못했다”고 이 학회에서 밝혔다.펜타쿼크는 일본 하리마의 한 원형가속기에서 처음 발견됐다. 일본 연구팀은 탄소 원자에 감마선이 충돌할 때 나타난 흔적에서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미국 과학관의 과학교육 지원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컨퍼런스에 참석한 서울대
물리
교육과 송진웅 교수는 “이제 과학교육 연구의 영역이 학교에 국한되지 않고 과학관, 연구소, 일상생활 등으로 확장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학교밖 과학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위상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새 학설이 제기됐다.일본 도쿄대와 미국 브룩헤븐 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
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충격으로 빅뱅 후 수십만분의 1초 뒤의 우주 ... ...
물리
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떠났다.빛의 축제 운영위원장으로 태평양을 건너 온 빛을 제일 먼저 받은 부산대
물리
학과 한창길 교수는 "빛을 평양으로 보내지 못해 아쉽다"며 "아인슈타인의 빛에 통일의 염원까지 담았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차거나 젓가락질을 하는 절차기억 등으로 나뉜다”고 말한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
학과 정재승 교수는 “서술기억은 특정 영역에 저장돼 있지만 절차기억은 좀더 교묘한 형태로 저장돼 있어 한번 익히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영화 ‘롱키스 굿나잇’의 주인공은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2013년에 소행성으로 우주선을 발사해 표면에 각종 측정기기와 송수신기를 설치해서
물리
적 특성과 지질 구조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필요한 경우 2014~2024년 사이에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태양풍 돛 이용해 소행성 밀어낸다그렇다면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