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음악 검색 원리로 지진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미리 분석한 데이터를 통해 검색하는 방법과 비슷하지요.‘FAST’라고 이름 붙여진 이
기술
은 자기상관법이 9일에 걸쳐 찾아낸 24개의 지진 중 21개를 한 시간 반 만에 찾아내는 데 성공했어요. 시간을 무려 140분의 1로 줄인 거예요. 또한 자기상관법이 찾아내지 못한 68개의 작은 지진들을 추가로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동물의 털에 이런 비밀들이 있었다니 정말 놀라워. 게다가 이제는 동물의 털 말고도 과학
기술
로 따뜻해지는 옷이 개발되고 있다니…. 좋아! 그럼 나도 어서 스마트웨어를 개발하러 가야지. 음냐음냐…. “나지오~! 아직도 자고 있어? 지각이야~ ... ...
진정한 몬스터가 되고 싶나요? 몬스터호텔2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또 얼마나 뛰어나다고! 급정지, 급출발, 급회전, 거꾸로 날기와 같은 어려운 비행
기술
도 척척 해 낼 수 있어. 비결은 날개와 같은 비막에 나 있는 미세한 털! 털로 공기의 흐름을 읽어내서 갑자기 방향을 돌리거나 공중에서 멈추는 게 가능한 거지. 그래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손자 데니스를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접근해 먹이를 구걸하면 사람과 동물 모두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종복원
기술
원 연구원들은 곰을 다시 생태학습장으로 불러들인다. 그래서 연구원들은 방사된 곰들이 사람에게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예를 들어 곰들에게 접근할 때에는 서바이벌 건을 쏘고 ... ...
수증기로 슝~! 꼬마 증기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힘으로 나아가는 배인 범선보다 3배 이상 빠른 속도였다니 정말 대단하지?당시 놀라운
기술
이었던 증기기관은 이후에 디젤기관이 개발되면서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됐단다. 참여독자 : 이진광(서울 서일초 3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표정이나 움직임은 굉장히 중요해요. 이런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주는 게 모션 캡쳐
기술
이지요. 명예기자들이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모션 캡쳐 연구실이었어요.“모션 캡쳐를 하려면 모션 캡쳐 슈트를 입고 몸과 얼굴에 마커를 붙인 뒤, 적외선 카메라로 마커의 움직임과 위치를 추적해야 돼요. ... ...
[가상인터뷰] 바나나로 바이러스 치료제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마코미츠 교수팀이 바나나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사용해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기술
을 발표했어요.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대표적인 물질 중에 ‘렉틴’이라는 단백질이 있어요. 렉틴은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어 바이러스가 다른 세포에 붙는 것을 막아요. 하지만 렉틴은 치명적인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해서 모두 같은 검은색이 아니에요.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라 과학
기술
대 유한 교수팀이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유한 교수 연구팀은 딱정벌레 등껍질에 있는 얇은 비늘들이 빛을 사방으로 흩뿌려 딱정벌레의 등껍질이 화려하게 빛나는 것을 보고, 이 현상을 반대로 ... ...
[과학뉴스] 자라나라, 머리카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머리카락이 활발하게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크리스티아노 교수는 “이
기술
이 상용화되면 원형 탈모나 대머리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준 셈이랍니다.또 몇몇 물고기의 수가 줄어든 이유로 ‘남획’이 꼽히기도 해요. 어획
기술
이 발달하면서 더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된 것도 이유지만, 알을 품고 있는 어미 물고기는 물론 어린 물고기까지 모조리 잡아들인 게 일부 어종이 사라지게 된 큰 이유가 됐답니다.명태의 경우에도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