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3.35m 점프하는 메뚜기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로봇의 안정성과 점프 높이를 늘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체모방
기술
학술지(Bioinspiration and Biomimetics)’ 2015년 11월 25일자에 발표됐다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해안의 미세플라스틱 밀도, 세계 평균의 13배우리나라 상황은 더 심각하다. 한국해양과학
기술
원(KIOST)이 2015년 10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남 거제를 포함한 32개 바다에서 1km2당 55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전국 12개 해안에서 확인된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밀도는 m2당 1만1871개로 전세계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이론’을 꿈꾸며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자연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을 하나로 통합해서
기술
하는 이론을 찾는 데 힘을 쏟았다. 결국 아인슈타인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오늘날 많은 물리학자들이 아인슈타인의 바톤을 이어받아 ‘모든 것의 이론(Theory of Everything)’을 찾으려 하고 있다. ... ...
[과학뉴스] 오줌으로 만드는 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송신기는 2분에 한 번씩 컴퓨터로 신호를 보낼 수 있었답니다.이로폴로스 교수는 “이
기술
은 앞으로 군사용 장비나 생존 키트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장치들도 만들고 싶다”고 말했어요.이번 체험을 통해 기자단 친구들은 사물 인터넷
기술
의 원리를 배울 수 있었어요. 독자 친구들도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사람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
기술
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발전에 비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은 미비해서 주로 외국의 소프트웨어
기술
을 가져와서 사용한다.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줄넘기!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자체개발해 획기적인 운동기구를 만든 벤처기업이 있다. ‘탱그램팩토리’다. 지난 9월 탱그램팩토리는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나왔다. 남자가 여자보다 해마 부위를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노르웨이과학
기술
대 뇌신경과학과 카를 핀츠카 연구원팀은 남자와 여자 각각 18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가상현실 길찾기 게임을 시켰다. 총 45개의 미로를 30초씩 미리 보여준 뒤, 실제로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변화가 ...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뒤 검출기에 기록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역으로 계산했다.이
기술
은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는 물론, 형태도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현재는 바닥으로부터의 거리가 60cm 이하인 물체만 감지할 수 있지만, 앞으로 이 거리를 10m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2015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윤기권 산업
기술
평가관리원 PD는 “일반 소비자가 많이 쓰는 프린터에 대한 품질 평가 기준은 7월 중에 산업용보다 먼저 완료할 예정”이라며 “인체 안정성과 환경 유해성을 포함해 의무조항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즉, 전자기력과 약력은 우주 탄생 초기 온도가 높았던 얼마 동안은 하나의 수식으로
기술
할 수 있는 힘이었지만, 시간이 지나 우주의 온도가 식어가면서 대칭성이 깨지는 바람에 서로 다른 힘으로 갈라져 나왔다는 뜻이다. 2013년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이 같은 표준모형의 핵심적인 내용들은 모두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