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너무 놀라 입을 떡 벌리고 말았어요. 거북은 바닥의 수초들을 맛있게 먹는 것에 집중해 사람들이 다가가 촬영을 해도 경계하지 않았지요. 이런 거북의 모습은 탐사 동안 큰 놀라움과 즐거움을 선사했답니다. 야생생물의 천국, 샹핑숲에서의 하룻밤 장이권 교수팀은 ‘조류 탐사자들의 ...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코리아’와 함께 고래 축제에 반대하는 이벤트를 기획하면서 시작됐어요. 보통 사람들이 무언가를 비판하면 “그래서 대안이 뭔데?”라고들 물어보잖아요. 그래서 그 대안으로 ‘동물을 한 마리도 괴롭히지 않고 즐거운 동물 축제를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축제를 만들었죠. 그게 바로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질환을 치료하려다가 여러 가지의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처럼 사람이 인위적으로 조작한 유전자를 현실 세계에 도입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입니다. 배아 발달의 분자생물학적 이해를 위한 연구는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연구 또한 인간 배아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대 방향으로 연료를 뿜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따라서 운동장이나 공터 같은 야외에서 실험하세요. 적당한 장소를 찾았다면 한 사람은 로켓이 하늘을 향하도록 발사대 밑 부분을 꽉 잡아요. 로켓이 발사될 때 다치지 않도록 얼굴을 로켓 반대 방향으로 돌리고요.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으니, 로켓을 발사시켜 볼까요? 페트병 가운데를 있는 힘껏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구분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홍 심리연구사는 “숨김 정보를 전해 들으면 무고한 사람에게도 신체 변화가 나타나지만, 범인보다는 변화의 폭이 좁다”며 “둘 사이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수사 마지막 단계에서도 숨김 정보 검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색을 이용해 원소 이름을 적었다”고 설명했다. 3조는 원소 이름 옆에 원소를 발견한 사람과 발견 연도를 함께 넣어 주기율표에 역사적인 의미도 더했다.이외에도 원소를 동물 이름과 짝지은 주기율표, 우리나라 지명을 이용한 주기율표, 원소의 이름과 기호를 이용해 분류한 주기율표 등 총 7개의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휴머노이드 로봇들도 사람과는 다르게 무릎을 구부린 채 힘들게 걷습니다. 이 모든 것이 사람의 다리처럼 자유도가 많지 않은 상태에서 2족 보행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릎에 많은 힘이 집중됩니다. 이 때문에 가장 먼저 무릎 관절에 쓸 모터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합니다. 무릎 모터를 선정할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스페이스X의 부사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는데, 정부기관에서 오랫동안 일하던 사람이 일반 기업에서 일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만류했다고 했다. 그러나 개럿은 힘들지만 도전하는 마음으로 스페이스X로 이직했다. 2012년 민간 우주기업으로는 최초로 국제우주정거장에 우주선을 쏘아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불에 구운 꼬치 요리)를 해준 것이었다. 사실 줄다리기의 목적 자체가 샤오카오를 구울 사람을 정하기 위함이었는데, 고등학교 졸업 이후 처음으로 운동회 분위기를 만끽했다. 동시에 양국의 문화 차이도 느낄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친목을 다지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중국 ... ...
- [포토뉴스] 쌍곡면으로 바다 민달팽이처럼 움직이는 로봇 만든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바뀔 때 아주 작은 에너지만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벤카타라마니 교수는 “사람들은 이런 형태의 쌍곡면을 오랫동안 봐 왔지만 아무도 그 매끄러움과 움직임을 연관지어 생각하지 못했다”며, “이 연구가 에너지 효율이 높으면서 극도로 유연한 연체 로봇을 향한 길을 제시할 수 있을 ... ...
이전3783793803813823833843853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