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보다 미국 갈 때 시차적응이 힘들었던 이유
2016.07.22
of Biological rhythms)’에 발표했다. 또 2005년 스티븐 브라운 스위스 제네바대 분자생물
학과
교수팀은 19명의 체온과 호르몬 변화 등을 관찰해 생체시계가 평균 24시간 30분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발표했다. ... ...
살 쭉~ 빠지는 설탕 대체제 나온다
2016.07.20
내 설탕 대체제로 쓸 수 있을 걸로 기대된다. 경북대 제공 최명숙 경북대 식품영양
학과
교수(사진)팀은 감미료 알룰로스가 체내의 지질흡수를 막아 분변으로 배출하게 돕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대체감미료로 주목받고 있는 알룰로스는 칼로리가 전혀 없는 전분에 효소 ... ...
균과 공생해 뿌리 성장 조절… 나무도 영양분 스스로 찾는다
2016.07.19
통해 영양분을 확보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펜실베니아대 로저 코이대 생물
학과
교수팀은 나무뿌리에 사는 균류에 따라 뿌리 두께가 달라져 영양분을 확보하는 과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소나무와 버드나무, 삼나무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찰스 리버 하버드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전기신호와 광신호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느다란 선(線)형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런 선형 반도체는 흔히 ‘1차원 반도체’라고 부른다. ... ...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6.07.18
영장류에게만 있으며,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능력이라고 생각했다. 옥스퍼드대 동물
학과
카이트 뉴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얼굴을 구별하는 데 복잡한 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6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성공한 연구 성과가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그레헴 크로스 아일랜드 더블린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다이아몬드 바늘을 이용해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네이처’에 14일 밝표했다. 물리학자 안드레 가임은 흑연에서 그래핀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해 2010년 ... ...
로봇, 3D로 공룡 연구해보니…‘쥬라기공원’ 허구가 아니네!
2016.07.15
기어 나온 물고기는 어떻게 움직였을까. 몇 해 전 대니얼 골드먼 미국 조지아공대 물리
학과
교수는 뭍에 올라온 최초의 고생물인 ‘익티오스테가(Ichthyostega)’를 연구하다가 의문을 품었다. 익티오스테가는 도롱뇽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길이가 1.5m로 훨씬 크고 다리는 더 짧다. 지느러미보다 ... ...
세균으로 스마트폰 충전?
2016.07.10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타일러 쉔드럭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동기의 회전자를 세균의 움직임으로 구동할 수 있다는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9일자에 발표했다. 세균은 인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이달의 사물] 피우는 비타민
과학동아
l
2016.07.07
볼까요. 2012년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 증기의 유해성을 연구한 신호상 공주대 환경교육
학과
교수는 “액상에 든 것보다 증기에서 최대 100배 더 많은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됐다”며 “가열 과정에서 생성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과학동아 2015년 1월호). 액상 비타민도 가열하는 과정에서 어떤 ... ...
“연골, 한번 닳아 없어지면 재생 어려워”
2016.07.07
논쟁이 있었지만 실험으로 입증된 적은 없었다. 마이클 재어 덴마크 코펜하겐대 물리치료
학과
교수팀은 최신 분석 기법을 동원해 성인의 경우 연골이 거의 재생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탄소동위원소(C14) 분석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