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선명 TV의 전기요금을 10분의 1로 낮출 수 있는 차세대 액정
장치
를 개발했다. 송장근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마이크로미터(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 액체방울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기술을 TV나 컴퓨터 모니터 같은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다른 공간의 두 사람이 쌓여 있는 블록을 밀어 떨어뜨리는 젠가 게임을 하고 있다. 기존
장치
에 비해 넓은 공간에서 정밀하게 동작을 인식한다. - KIST 제공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활성화된다고 밝혀진 동물은 개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개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안에서 진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을 수 있도록 훈련시켰다. 그런 다음 fMRI 안에 있는 개에게 인간, 개 그리고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여주면서 뇌의 반응을 촬영했다.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연구원 등 한인 과학자가 포함된 미국 UC버클리 연구진은 ‘LED(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를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PCR을 하는 기술을 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 31일자에 발표했다. 메르스를 확진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객담 등 샘플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가 있는지 실제로 있는지를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때와 도약할 때 다리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연구진은 다리에 초경량 액추에이터(구동
장치
)를 달아 다리의 힘이 물의 표면장력보다 작아지도록 조절했다. 조 교수는 “그동안 소금쟁이가 수면 위를 미끄러지듯 달리는 과정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도약 과정을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10만5810점 중 수상자 301명 선정
2015.07.30
받은 신동규 군의 ‘아이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수돗물 배출 방향 조절
장치
’는 간단한
장치
조작만으로 물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무총리상을 받은 박규열 군의 ‘빔스플리터를 이용한 이중반사식 현미경’은 빛의 원리를 충분히 이해한 뒤 개발했다는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어린 조카 스스로 세면대에서 손 씻게 해주고 싶었어요”
2015.07.30
위치로 휘어져 물줄기를 자유자재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 군은 이
장치
를 조금 바꿔 과학실 실험기구 세척용으로도 개발했다. 삼각플라스크처럼 입구가 좁아서 세척하기 힘든 실험기구의 경우 마치 줄자처럼 원통에서 호스를 뽑아 쓰게 했다. 그는 “평소 미술에도 관심이 많아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15.07.29
전파가 레이더로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그래서 전파를 한 방향으로 발사하기 위한
장치
가 필요하다. 초기에는 천문대의 전파망원경처럼 포물선 모양의 둥근 접시를 전파발생기에 달았다. 1905년 노벨상을 수상한 카를 브라운은 이를 진일보시켰다. 여러 대의 발신기를 가까운 거리에 놓고 서로 ... ...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막] “TV에서만 보던 ‘휴보’ 직접 조종하니 신기”
2015.07.28
위대한 발견의 순간을 상상해 볼 수 있게 했다. 이날 휴보와 드론, 삼성전자의 가상현실
장치
인 ‘기어VR’ 등은 관람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휴보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드론을 직접 날려 보거나, 가상현실 체험을 하는 등 첨단 과학을 몸으로 체험하기 위해 길게 줄지어 순서를 기다렸다. ... ...
배터리 충전속도 3배 높이는 나노막 개발
2015.07.27
4배로 높아졌다. 박 교수는 “블록공중합체로 제작한 이중 다공성 막을 에너지 저장
장치
분야에 활용해본 것은 처음”이라며 “크고 작은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전지뿐 아니라 정수 분야 등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2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