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3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룹 ‘클론’ 출신 구준엽, 아이폰 분해하는 까닭은
2015.08.21
아이폰의 테두리 색을 바꾸고 싶어 아이폰을 직접 분해한 뒤 재조립하거나 휴대용 저장
장치
(USB)를 직접 만드는 등 메이커 활동으로 유명하다. 구 씨는 “메이커 활동은 혼자서만 하기는 어렵다”며 “다른 메이커에게서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네트워크가 중요한데 이번 발대식이 그 밑거름이 되길 ... ...
은하수 저편에서 ‘유령입자’ 샘솟는다
2015.08.20
생성된 신호만을 토대로 고에너지 중성미자의 출처를 구분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장치
밖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해도 정확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포착된 중성미자의 궤적 일부가 은하수 부위를 가리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그 수가 적어서 세부적인 ... ...
3D프린터 15대 배치… 기계에 관한 모든 것 ‘상상 제작소’
동아일보
l
2015.08.20
룸에 사람 몸통만 한 바퀴 모양의 모형을 전시해 두고 있었다. 고속철도(KTX) 제동
장치
에 들어가는 부품인 ‘브레이크 디스크’ 모형이다. 그동안 국내 업체가 개발하지 못해 전량 수입에 의존해 온 제품이지만 한국재료연구소와 함께 약 6년에 걸쳐 개발한 것이다. 이 대표는 4월 경남혁신센터가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사람의 구토 행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장치
를 만들었다. 이
장치
는 구토물의 양과 끈적끈적한 점도, 구토의 세기(압력) 등을 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연구팀은 노로바이러스의 ‘안전한 대용품’으로 실험에 이용되는 ‘MS2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를 모의 ... ...
은나노 와이어로 분자 단위 유해물질 잡아낸다
2015.08.19
쉽고 제작비도 훨씬 저렴하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판을 시중에 나온 휴대용 광학 분석
장치
에 적용해 성능을 실험한 결과 유해물질의 농도가 ppb(10억 분의 1) 수준까지 확인됐다. 김 박사는 “기존 기판과 비슷한 성능의 기판을 값싸고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실제 검출기를 ... ...
고백에 성공하려면, 일단 배불리 먹이세요
2015.08.17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8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다양한 사진을 보여주며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로 이들의 뇌 반응을 살폈다. 연구팀이 참가자들에게 제시한 사진은 손을 잡고 있는 연인과 같은 로맨틱한 사진이나, 볼링 공과 같은 중립적인 사진이었다. 그 결과 금식 상태에서는 로맨틱한 사진이나 ... ...
드론 보고 놀란 곰 가슴, 200분 동안 벌렁벌렁
2015.08.14
14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미네소타 주 서북쪽에 사는 미국흑곰 4마리에게 위치추적
장치
와 심장박동수 감지 센서를 붙인 뒤 곰이 생활하는 장소 인근에 무인정찰기를 띄워 곰의 반응을 살폈다. 곰의 심장박동수는 2분 주기로 연구자에게 e메일을 통해 전달되도록 했다. 그 결과 곰은 20m 상공에 뜬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니코틴에 중독된 동물모델을 만들었다. 버튼을 누르면 정맥으로 니코틴이 들어오는
장치
를 이용해 일정기간 동안 생쥐를 니코틴에 중독시킨 것이다. 중독된 생쥐는 스스로 버튼을 눌러 니코틴을 맞기 시작했다. 보통 생쥐의 경우 니코틴을 맞고 발작과 구토 등의 증상을 겪으면 다시는 맞으려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종일 전기를 만들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용량에너지저장
장치
(ESS) 기술을 추가로 연구 중이지만 효율이 떨어져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염분차발전은 바닷물에 들어 있는 염화나트륨(소금) 등의 물질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해 전압을 발생시키거나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알려져 있었지만 그 과정을 명확히 규명한 것은 연구팀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연산
장치
(CPU)’ 2100만 개를 합쳐 놓은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4096개 가상 물 분자가 얼음이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물분자들이 임계핵을 형성하는 시간이 백만분의 1초에 불과하고, 최초로 핵을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