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03
이에 앞서 지난 1월 29일 영국의 일간 ‘데일리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은 NASA가 화성
사진
에서 컬러를 조작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 신문은 NASA가 화성 탐사로봇이 보내온 영상을 필터로 조작해 일반적인 인식처럼 붉은색으로 보이게 만들었고 심지어 생명체의 존재를 감추려고 초록색으로 된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03
분포돼 정확히 구형으로 보인다는 것이다.M3에 속한 별의 수는 대형망원경에서 찍은
사진
으로 4만4천5백개까지 판정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면 이 구상성단은 적어도 태양의 24만5천배의 질량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성단의 밝기는 6.4등급이며 시직경은 소형망원경으로 봤을 때 약 10분으로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03
끌어올리는데 꼭 필요한 전제다.현재 레몬산무인천문대에 설치된 촬영용 카메라는 일반
사진
필름보다 큰 50×50mm²크기의 고체촬상소자(CCD)칩을 장착하고 있어서 22.5× 22.5arcmin²(제곱각분, 달의 시직경은 약 30각분) 정도의 넓은 영역의 관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넓은 관측 영역은 산개성단이나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03
런던대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안드레아스 바텔스 박사는 20명의 젊은 엄마들에게 아기
사진
을 보여줬더니 이성에 대한 사랑에 반응하는 보상중추가 이 경우에도 활성화됨을 확인해 ‘뉴로이미지’ 2월호에 발표했습니다. 모성애와 이성애가 같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이죠.5 대 1의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03
생각도 했다. 그런데 거짓말처럼 게들의 산란이 시작된 것이었다. 이 일로 그는 좋은
사진
과 좋은 연구는 결국 생물과의 교감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사실을 절감했다고 한다.‘갯벌 이야기’는 당시 자연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면서 만난 갯벌 생물과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갯가 사람들의 생활이 주를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02
아이작 뉴턴’이라고 쓴 대형 초상화를 내걸었다고 합니다. 마치 관공서에 대통령
사진
액자 달듯 말입니다.반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밝힌 ‘프린키피아’의 둘째판을 낼 때는 초판 때의 절실함이 없어서인지 그냥 흑백의 소박한 초상화를 줬다고 합니다. 물론 미적분법을 두고 발견의 우선권을 다툰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02
수화물 포착 스피릿은 착륙 3시간 후부터 시시각각으로 화성
사진
을 보내오고 있다. 이
사진
들은 지금까지의 화성모습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 줘 화성의 물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스피릿은 당초 11일경에 모체에서 나와 화성 지표면을 디딜 계획이었다. 하지만 착륙시 충격을 ... ...
남북한 공동 식물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02
분류학, 생화학, 지리학적 정보를 총망라해 적고 직접 모양을 그려넣는다. 때문에 식물
사진
에 간단한 설명을 추가한 일반적인 사전이나 식물도감과는 차원이 다르다.이웃 중국과 일본은 물론 세계 여러나라가 자국의 자생식물에 대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만든 식물지를 갖고 있다. 그러나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02
망원경이 관측한
사진
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다. 30억광년이나 떨어진 이곳의 실제
사진
은 그리 뚜렷한 상태가 아니어서 사실에 가깝게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어떻게 이 그림이 넉가래로 눈을 치우는 모습일까. 가운데 은하가 넉가래, 은하 뒤쪽으로 이리저리 길게 뻗은 푸른빛 무리가 넉가래살에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용접하는 방법지상물체의 식별능력을 말하며 분해능 50m라 하면 지름이 50m 되는 물체가
사진
에서 한점으로 보이게 된다는 뜻이다 물론 밝은 물체는 약간 크게 보인다 보통 m 단위의 분해능을 보인다면 CCD소자를 이용하거나 레이더 기술을 이용한 장비이고 수㎝ 정도로 작다면 필름을 이용한 장비인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