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의 밤하늘 가른 니트 혜성
과학동아
l
200406
한국천문연구원은 5월 13일 저녁 9시에 보현산천문대에서 촬영한 니트 혜성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혜성은 밤 9시경 서쪽 하늘에 떠올랐으 ... 일 경이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다. 혜성의 꼬리가 길어 두장을 찍은 뒤 합성한
사진
이다. 클로즈업한 부분은 혜성의 머리 중심인 핵이다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06
홈페이지에는 두 날개를 활짝 편 나비처럼 보이는 벌레성운의 역동적인 모습이 담긴
사진
이 공개됐다. 남쪽 하늘 전갈자리에 위치한 벌레성운은 지구에서 대략 4천광년 떨어져 있다.성운의 화려한 운무는 수명이 다해가는 별이 내뿜는 가스와 먼지가 빛을 산란시켜 연출된 것이다. 나비가 연상되는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06
아프리카로 각각 2팀으로 나눠 갔다. 그들은 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별
사진
을 찍었다. 이
사진
들을 분석한 결과 일식 때 태양 뒤편에 있는 별빛이 실제로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태양에 의해 별빛이 휘어져서 보인 것이다.에딩턴은 이 결과를 그해 11월에 영국 왕립학회와 왕립천문학회 합동회의에서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
사진
술
과학동아
l
200406
전자지도제작이나 3차원 공간정보, 위치정보시스템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항공
사진
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3-7개 정보에 불과한 현재 수준에서 벗어나 2백개 이상의 분광영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고성능 분광센서도 조만간 국산화될 전망이다. 또 악천후에도 지표면을 관측할 수 ... ...
04. 드라마 속 사랑 과학으로 다시 보기
과학동아
l
200406
그 결과 가임능력이 가장 높은 기간, 즉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은 시기의 여학생일수록
사진
속 여성의 매력도를 더 낮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여성을 차지하기 위해 남성들이 서로 경쟁을 벌인다는 다윈의 성선택론과는 달리, 여성들도 더 나은 남성을 만나기 위해 ... ...
카시니가 찍은 토성의 최근 모습
과학동아
l
200405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는 현재 토성에서 5천6백40만km 떨어진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1/3되는 우주를 날고 있다. 보내온
사진
은 지난 3월 8일 촬영한 것으로 토성남반구에 보이는 2개의 작고 검은 점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내달 중 좀더 명확히 밝혀질 전망이다.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05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일까?가브리엘 리프만. 우리에게 낯설기는 하지만 컬러
사진
기를 개발해 190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위대한 과학자다. 또한 그는 퀴리부인을 지도했을 뿐 아니라 퀴리부부를 탄생시킨 중매쟁이이기도 하다.리프만 박사가 오늘날 새롭게 주목을 받는 것은 1870년대에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05
가운데 하나인 검은 천체 B68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다. 우주에 구멍이라도 뚫린 걸까.
사진
에서 모래알처럼 깔린 별들 사이에 놓인 시커먼 덩어리가 B68 성운으로 약간 찌그러진 반달 모양을 하고 있다.망원경 이름 ‘퀘옌’ 은 달 뜻해B68을 관측했던 망원경 VLT 4대 중 1대에는 칠레 원주민인 마푸치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05
출몰해 그림을 그리다가 가슴을 쓸어내린 적도 한두번이 아니라고. 한참을 그리다가
사진
을 찍고 숲을 내려왔다. 식물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표본이나 세밀화는 식물을 연구하는데 기본이 되는 자료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이런 작업에 소홀했습니다.”이유미 박사는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05
실험 결과 얼굴이 흐려졌더라도 상반신에서 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는 선명한
사진
만큼이나 FFA의 활동을 강하게 유발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즉 아무리 얼굴이 흐릿하더라도 목 위의 제자리에 얹혀있을 때 우리의 뇌는 사람의 얼굴로 인식한다는 뜻이죠.신하 교수는 논문에서 “얼굴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