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스페셜
"
모두
"(으)로 총 3,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3억5000만원” vs “270억”…운석 값 줄다리기
채널A
l
2014.05.12
이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진주에서 발견된 운석은 4개. 무게는
모두
합쳐 35kg입니다. 종류는 주성분이 철인 ‘오디너리 콘드라이트 H5’로, 지구에서 발견되는 운석 중 40%에 해당되는 흔한 운석이지만 한반도에 71년 만에 떨어진 운석이라는 점에서 과학적 가치가 높습니다.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대상으로 임상을 한 9가지의 동물실험 데이터. 청록색 막대는 논문에 발표된 결과로
모두
유의적인 수명연장효과가 있다(가로축은 수명 증감(%)). 그런데 ALS치료제개발연구소에서 엄밀하게 설계된 동물실험을 한 결과 약효가 있는 게 하나도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검은 막대). - 네이처 제공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퓨즈 등도 개발했다. 에디슨이 전기시스템 전체를 가동시키기 위해 취득한 특허는
모두
362건에 달한다. 이런 아이디어들이 실현가능한 것은 그가 자신의 발명으로 엄청난 재산을 보았고 그것을 연구에 투자하여 보다 많은 재산을 벌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백열전구는 도입된 것은 1879년으로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탁란을 모르고 지내는 흰털발제비(덴마크)와 귀제비(중국)의 경우 각각 10회와 26회
모두
뻐꾸기 알을 알아보지 못했다. 인가에 둥지를 틀어 역시 탁란 피해가 거의 없는 제비의 경우도 세 곳
모두
(덴마크 10회, 노르웨이 2회, 영국 8회) 뻐꾸기 알이 있는지 몰랐다. 반면 숲에 집을 짓는 제비의 경우 중국 ... ...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
KISTI
l
2014.04.25
계속 끝내기를 하다 보면 결국 쿠폰을 보두 가져가게 되고 바둑도 끝나게 된다. 바둑이
모두
끝난 후에 각자의 집과 보유한 쿠폰의 점수를 합해서 흑백이 서로 몇 집 차이인지를 확인한다. 이처럼 많은 수학자와 과학자의 노력으로 바둑에 대한 수학적 연구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는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탈출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불길이 번지자 한꺼번에 출입문 쪽으로 달려갔고
모두
가 엉켜 탈출이 어려워졌다. 이 유형 사람들의 또 다른 특징은 재난 상황을 낙관한다는 것이다. 재난 상황에 닥쳐도 시스템의 안전성을 믿으며 최악의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 ...
[재미있는 특허이야기]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동차를 만들다
KOITA
l
2014.04.17
자동차 운전대를 잡는다면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위험할 수 있다. 그런데
모두
가 우문(愚問)이라고 치부한 이 물음에 현답(賢答)을 내놓은 사람이 있다. 미국 버지니아공대의 교수이자 세계적인 로봇 과학자, 데니스 홍 박사다. 홍 박사는 2011년 시각장애인이 자신의 뜻대로 운전할 수 있는 ... ...
[생활 속 기술]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
KOITA
l
2014.04.17
이용해 지었다. 물론 기본 뼈대는 나무를 사용했지만 바닥과 벽 지붕 등 주요 부분은
모두
생체재료를 이용했다. 지금 이들은 이 집의 성능과 효율을 시험하고 있다. 과학적인 검증 남아 이들의 버섯 재료는 지난 5월 미국 환경청으로부터도 자금 지원을 받았다. 단열재와 절연체로 쓰는 또다른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자연 보호와 지역 경제 살리기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게 생태 관광”이라고 조언했다. 자연의 품으로 돌아간 제돌이와 달리 장생이는 수족관에서 생을 일찍 마감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의 오만이 낳은 결과일지 모른다. 그 어린 죽음이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연구자들은 2013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들이
모두
호모 에렉투스이며 같은 논리로 호모 하빌리스나 호모 루돌펜시스도 호모 에렉투스의 변이형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 사이언스 제공 두개골 형태를 분석한 스위스 취리히대 마르시아 폰체 드 레온은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