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우울증 치료제·코로나 치료제 개발 가능케 한 혁신적 도구 개발"
2021.10.06
향수 물질 등을 합성하는 데도 쓰인다. 이덕환 서강대 화
학과
·과학커뮤니케이션
학과
명예교수는 "전통적인 유기 화학의 문제를 해결한 업적을 인정받았다"고 말했다. 노벨위원회 제공 ... ...
[과학게시판]한양대박물관, 거대강입자가속기 가상투어 프로그램 마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대형 검출기가 있다. 이번 가상 투어는 스위스 현지에서 연구 중인 김태정 한양대 물리
학과
교수가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진행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5일 제4대 상임감사로 최도영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최 신임 감사는 ... ...
"해왕성 너머 어둠 속에 지구나 화성급 행성 숨어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10.05
과학 전문 매체 'phys.org' 등에 따르면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천문
학과
의 브레트 글래드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계 형성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한 리뷰논문을 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애뉴얼 리뷰'(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개발에 들어갔다. 생물직교화학이란 용어를 만든 캐롤린 버르토지 미국 스탠퍼드대 화
학과
교수도 후보로 올랐다. 생물직교는 생리학적 환경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나 세포 분자를 손상시키지 않고 투입한 물질만 반응시켜 변형하는 기술이다. 약물 표적을 식별하거나 세포에 형광 물질을 붙이는 ... ...
[표지로 읽는 과학]바이러스는 야생에서 어떻게 살아남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3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다. 안나 졸레스 오리건주립대 통합생물
학과
교수는 “인간과 버팔로는 개체 규모나 서식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이와 똑같은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하긴 어렵다”면서도 “지역간 격리돼 있는 버팔로보다 상호 간 접촉이 더 많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시시각각 더 많은 사고력과 정확한 판단이 필요한 때
2021.10.02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는 게 문제다. 이에 최근 조나 퀘트케 미국 피츠버그대 심리
학과
교수팀은 '지적 겸손(intellectual humility)'이 사고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이라고 보았다. 지적 겸손은 자신의 믿음과 지식이 완벽하지 않으며 틀렸을 가능성을 인식하는 태도를 말한다. 지적 겸손의 ... ...
[2021국정감사]UNIST, 불합격자 합격 처리·입학팀장 자녀 입학 서류 열람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답변이 부족, 더 준비해서 다음에 지원하면 좋을 것 같다”는 평가를 내렸다. 해당
학과
행정실은 입학팀에 이 같은 결과를 공문으로 보내면서 불합격 결과를 통보했다. 하지만 입학팀 직원 C씨는 A씨가 입시정보시스템(SAP)에 ‘합격’으로 입력돼있다는 이유만으로 공문은 고려하지 않은 채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개수가 많으면 된다. 이를 광양자가설이라 부른다. 플랑크의 가설은 고전물리
학과
전혀 궁합이 맞지 않는다. 첫째, 에너지가 최소단위로 덩어리져 있고 그 정수배로만 존재한다는 개념은 고전물리학에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파동의 에너지가 진동수에 정비례한다는 주장도 고전물리학의 ... ...
코로나19 감염이 당뇨병 발생 또는 합병증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유형의 당뇨병을 일으킨다는 주장도 나왔다. 루비노 킹스칼리지런던 비만대사외과
학과
장은 "제1형 당뇨병 환자가 제2형 당뇨병처럼 심각한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사례가 여럿 나왔다"며 "코로나19 감염후 다른 장기 세포에서 인슐린이 작용하는 데 문제가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 ...
[2021노벨상]관측기술 발전에 힘입은 우주 분야, 올해도 노벨물리학상 차지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객원교수와 보이저 프로젝트를 이끈 에드워드 스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물리
학과
교수가 이름을 올린 것이다. 버넬 교수는 펄서를 가장 먼저 발견했음에도 정작 노벨 물리학상은 함께 전파망원경을 만든 안토니 휴이시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와 동료 마틴 라일에게 1974년 돌아가 논란이 되기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