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성
정밀성
뉴스
"
정교함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개질의 달인
팝뉴스
l
2020.11.28
팝뉴스 제공 뜨개질의 달인을 인증하는 사진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우동을 먹던 사람이 젓가락을 이용해서 예쁜 뜨개질 작품을 만들었다. 정교하고 정확한 솜씨를 자랑한다는 평가다. 그런데 일부 네티즌들은 음식점 주인이 더 대단하다고 평한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쫀득함 ... ...
[프리미엄 리포트]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 '알트(ALT)' 에 주목하라
2020.11.28
인간 염색체(회색) 끝부분을 덮고 있는 텔로미어(흰색). 일반적인 텔로미어의 길이는 세포가 세대를 거듭하며 분열할수록 점차 짧아진다. 미국 에너지부 휴먼 게놈 프로젝트 제공(U.S Department of Energy HumanGenomeProgram) “나의 시작에는 나의 끝이 있다 (In my beginning is my end)” 영국 시인 T.S. 엘리엇, ‘4 ... ...
[오늘의 뉴스픽]잘 포장된 차별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얼마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젊은 비정규직 과학자를 지원한다며 발표한 ‘세종과학펠로우십’이 예상외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지원제도를 신설하면서 기존에 정규직과 비정규직 과학자가 모두 신청할 수 있었던 사업의 지원대상에서 비정규직을 제외한 것이 발단입니다. 여기에 신 ... ...
AI가 지목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중증환자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이탈리아 의료진이 음압형 들것으로 코로나19 환자를 이동시키고 있다. EPA/연합뉴스 제공 일라이릴리가 영국 베네볼런트 사와 공동으로 인공지능(AI)를 이용해 발굴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이 임상시험에서 고령을 포함한 중증환자의 치명률을 낮추는 데 도 ... ...
정교한 연필 작품
팝뉴스
l
2020.11.16
팝뉴스 제공 가느다란 연필을 이용해 만든 작품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해외 SNS에서 빠른 속도로 전파되면서 화제가 된 작품은 연필로 만든 우주인의 모습을 담았다. 연필심이 우주인과 긴 연결줄을 형상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정교하고 실감나는 작품이어서 해외 네티즌들 ... ...
지금 녹은 남극 빙하가 21년 뒤 동아시아에 온난화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극지연구소 함동연구팀이 남극 빙하가 녹은 물이 바다로 유입될 때 향후 200년간 일어나는 변화를 기후 모델로 분석한 결과. 22~71년 후(연두색 구간) 동아시아 지역의 온난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극지연구소 제공 남극 빙하가 지금처럼 녹으면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을 0.2도 이상 높일 수 있다는 연 ... ...
방역당국 "백신 개발되면 내년 하반기 도입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이 정례 브리핑을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 제공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가 백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예방효과가 90% 확인됐다고 밝힌 가운데 정부가 내년 하반기에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준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코로나로 인해 한적한 MIT 캠퍼스의 모습. MIT Science(@ScienceMIT) 제공 중세 대학이 근대의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 속에서 그 역할이 종료되었듯이,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인류사적 전환기에 근대 대학의 변화는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대학이 담당해 온 연구와 교육의 두 가지 핵심 기능 중 교육 ... ...
[표지로 읽는 과학] 노벨위원회 예상 적중한 극저온전자현미경
동아사이언스
l
2020.11.07
네이처 제공 2017년 노벨 화학상은 세포나 수용액 속 생화학 분자의 구조를 고해상도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해 주는 극저온전자현미경(Cryo-EM)을 개발한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극저온전자현미경은 ‘극저온’이라는 이름 그대로 수용액에 담긴 생화학 분자를 영하 200도 이하의 극저온 상태로 ... ...
인공 손가락이 깨지기 쉬운 액정 화면도 부드럽게 터치
연합뉴스
l
2020.11.05
KAIST 연구팀, 전자피아노 연주·전자책 넘기기 시연 성공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내 연구진이 깨지기 쉬운 액정 화면을 부드럽게 터치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 손가락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오일권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이나 햅틱(촉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