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성
정밀성
뉴스
"
정교함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 한 방울로 55분만에 감염여부 알려주는 스마트폰용 진단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미국 라이스대 제공 혈액 한 방울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진단하는 칩이 개발됐다. 휴대전화를 통해 바로 진단결과를 알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피터 릴레호즈 미국 라이스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혈액 내 코로나19 단백질 농도를 측정해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칩을 국 ... ...
"정밀의료, 생명 살리지만 상상초월하는 윤리논쟁 잠재"… "법·제도 지금부터 정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개인의 유전자를 정밀 분석해 질병 가능성을 예측하고 환자마다 가장 적합한 치료제를 처방하는 정밀의료가 가능해지면서 개인 맞춤형 의학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하지만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고 환자 친화적인 치료가 발전하고 있지만 한편에선 유전자 결정론이나 의료 ... ...
[코로나 과학전쟁]코로나19 계기로 새 분자진단 기술 쏟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핵산을 이용해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인 '압타머'(왼쪽 그림 빨간색)는 항체와 비슷한 특성을 지녀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포스텍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여전히 확산하는 가운데 이를 빠르게 확인하는 진단키트 시장도 방역의 핵심 기술로 꼽 ... ...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유전자 상 자격 없어
연합뉴스
l
2021.02.10
지난 1천만년간 새 유전자 62개 습득하며 진화 [Alberto Fernandez Fernandez( https://commons.wikimedia.org/wiki/User:Afernand74)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실러캔스'(Coelacanth)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알려져 왔다. 1938년 남아프리카 연안에서 처음 건져 올린 물고기의 몸통이 약 6천500만년 전 공룡과 비슷한 시기에 ... ...
333년 동안 바닷속에 있었던 군함
팝뉴스
l
2021.02.05
팝뉴스 제공 사진은 스웨덴의 군함 바사 Vasa의 모습이다. 길이 70미터이며 높이가 50미터가 넘는 이 대형 군함은 1628년에 침몰하고 말았다. 그때부터 333년이 지난 1961년 발견되어 인양되기까지 군함은 바닷속에 있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거의 원형이 유지 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 ...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최시영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소재의 구조를 들여다보는 첨단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투과전자현미경에 기계학습이라는 소프트웨어적 기법을 더했다. 남윤중 제공 연금술은 납, 구리 같은 값싼 물질을 금과 같은 값비싼 귀금속으로 바꾸려던 주술적 성격의 시도였다. 고대 알렉산드리아에 ... ...
"비감염인도 코로나19 중화항체 만들 준비돼 있다"
연합뉴스
l
2021.02.01
서울대병원 오명돈 교수 연구팀, 코로나19 대항 면역작용 규명 코로나19 중화항체 발현 가능한 면역세포 대다수 정상인 이미 보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은 비감염인도 코로나19 중화항체를 만들 수 있는 면역세포를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 ... ...
어르신 먼저, 의료진 먼저?...국가마다 백신 전략 다른 이유
2021.01.29
미국과 영국, 러시아 등 전 세계 곳곳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를 종결시킬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내달 중 시작된다. 수도권 소재 코로나19 전담병원에서 일하는 의료진을 시작 ... ...
스마트폰처럼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정재웅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은 김정훈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팀 개발한 '뇌 완전 이식형 무선 광유전학 기기(왼쪽)'와 이 기기를 쥐의 뇌에 이식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가운데), X-ray 사진(오른쪽).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무선으로 충전과 제어가 가능한 뇌 이식 장치를 개발했다. 배터 ... ...
화려한 웨딩케이크
팝뉴스
l
2021.01.25
팝뉴스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큰 화제가 된 웨딩 케이크의 모습이다. 성인키보다 더 높다는 이 케이크의 중심에는 남녀의 모형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주변은 아름다운 고성의 모습을 닮았다. 정확히는 고성이 아니라 대성당의 모습을 본따 만든 케이크라고 한다. 믿을 수 없이 화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