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뉴스
"
소모
"(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있으니까 어떤 물체라도 이를 뿌리치고 지구에서 멀어지려면 그만큼 자신의 에너지를
소모
해야만 한다. 이는 빛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빛은 질량이 없다. 고전역학에서는 물체의 운동에너지가 질량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빛은 고전역학에서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그 에너지는 파동의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④ 대학연구를 팀플레이로 도약시키자
2021.07.06
지원 인력의 부재로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연구활동이 아닌 다른 업무에 많은 시간을
소모
하게 되면서 연구 몰입도와 효율성도 크게 떨어진다. 이런 현실에서 이중 삼중의 부담을 떠안고 있는 대학원생들은 가장 큰 피해자라고밖에 볼 수 없다. 일본과의 반도체 소재 분쟁과 코로나19 백신 수급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은 지방세포와 췌장세포, 신경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FGFR1/KLB에 달라붙어 에너지를
소모
하고 식욕을 떨어뜨리는 신호를 내보내게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FGF21을 투여해 비만을 치료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몸 안에서 금방 파괴돼 반복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연구자들은 FGFR1/KLB에 ... ...
강준혁 KAIST 교수·정성아 경북대 교수, IEEE 잭 뉴바우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강 교수는 “최적화 이론을 이용해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엣지 컴퓨팅을 제안하고 파워
소모
를 최소화하는 무인 비행체의 궤적과 자원 활당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매우 기쁘다ˮ며 “앞으로 제안된 기술을 활용해 연합학습에 적용하는 등 인공지능 분야로 연구를 확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왜 힘들까?
2021.06.26
정작 자신에게는 크게 실망한다. 적당히 1절까지만 하면 될 것을 이유 없이 지나친 감정
소모
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상황이 나쁘다고 해도,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에 대비하면 그만이다. 예컨대 다람쥐가 수중의 도토리가 부족하다고 느끼면 그저 깜짝 놀라고는 도토리를 더 주우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누군가 내 분노의 버튼을 누른다면
2021.06.12
것이 그 본래 목적이다. 따라서 버튼이 눌렸을 때 과한 분노로 쓸데 없이 많은 에너지를
소모
하고 혈압을 높여서 건강을 위협받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 전에 구체적으로 어떤 이유로 그 버튼이 눌렸는지 판단해보자. 지금 이 분노가 나름 적절한 이유가 있는 분노인지, 아니면 뇌내망상에 ... ...
영국 9월부터 할로겐 조명 판매 전면 금지...형광등도 단계적 퇴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오랫동안 쓰던 조명을 금지하는데 따른 저항은 있었다. EU는 2010년 전기를 많이
소모
하고 많은 열을 발산하는 백열 전구 판매를 중단하는 조치를 내렸다. 당시 EU 회원국 가운데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백열전구를 나눠주는 캠페인을 벌인 사례들이 있었다. 이번 할로겐 조명 판매 중단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왜 '미루기의 달인'이 되어가는가
2021.06.05
되고, 취미 생활 조차 잘 해내지 못하는 자신을 미워하는 등 온갖 것에서 감정과 에너지
소모
를 겪는다. 슬프게도 이런 만성적인 에너지 고갈 상태는 정작 중요한 일을 하는 데 쓸 에너지 부족을 불러오고,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게으른(게을러 보이는) 상태를 만든다. 미루기의 기쁨과 ... ...
[의학바이오게시판] 글로벌 임상시험 전문가 심포지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4
가졌다고 밝혔다. 이셀은 셀트리온에 정제 공정에 사용되는 일회용 버퍼제조용기와
소모
품 커넥터 키트를 3년 간 공급하게 된다. 기존에는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해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천식환경보건센터는 4일 서울시 교육청 교육 연구 정보원과 교육 정책 연구소의 위탁을 받아 서울시 ... ...
뇌 신경 세포망 모방한 인공섬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순차적으로 처리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
된다. 과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의 뇌에 주목하고 있다. 뇌는 아주 적은 전력으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섬유 소자는 뇌의 뉴런과 시냅스 역할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