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뉴스
"
소모
"(으)로 총 834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킹 박사 내기에서 지게 만든 블랙홀, 더 무겁고 더 멀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측정하는 연구를 함께 수행했다. 백조자리 X-1은 별이 내부 수소 에너지를 모두 태워
소모
한 뒤 중력을 이기지 못해 수축하며 만들어진 별질량 블랙홀이다. 태양 질량의 60배에 달하는 별이 붕괴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블랙홀 중에는 비교적 작은 편에 속한다. 2019년 전세계에 영상으로 ... ...
넥슨·넷마블도 빠진 '확률의 굴레'…게이머들 '트럭 시위'도
연합뉴스
l
2021.02.05
숫자가 또 나올 확률이 크다는 것이다. 차량을 획득하려면 빙고 카드를 최대 200∼300번
소모
해야 한다. 차량 1대를 구매할 때 많게는 10만원 이상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넥슨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빙고형 확률형 아이템 모습. 국내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중 대표적인 '컴플리트 가챠'다. ... ...
독자 개발 AI 자율차 플랫폼 올해 베타 버전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5
대규모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AI반도체 ‘AB9’을 개발했다. 크기를 최소화하고 전력
소모
량을 줄이는 동시에 AI 연산에 최적화된 설계 기능을 적용한 게 특징이다. 복잡한 연산을 완성하는 설계 단위를 뜻하는 코어수가 1만6384개로 1초에 40조회(40테라플롭스)의 연산이 가능한 수준이다. 이윤근 ... ...
고급세단 엔진보다 힘센 인공근육질 로봇이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1
보먼 교수는 “이온을 이용하는 실 형태의 전기화학 근육은 물건을 들 때 에너지
소모
가 없고 열을 이용하는 근육과 달리 에너지 한계가 없어 유망하다”고 말했다. 에너지 효율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번에 발표된 인공근육은 에너지 효율이 6%를 갓 넘겼다. 사람의 근육 효율이 25~30 ... ...
[주말N수학]수학과 AI로 한층 정밀해진 센서 기술, 자율주행 시대 앞당긴다
수학동아
l
2021.01.16
속도로 증가할 것 같다. 쯔엉 민 │우리도 거기에 발맞춰 더 빠르고 정확하면서 전력
소모
를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을 만들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아 3차원 라이다 SW에 적용하려고 한다. Q. SW 분야에서 일하려면 어떤 자질이 필요할까. 박재일 │수학적 알고리즘을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네트워크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삼성 6G 백서를 통해 기기별로 전력
소모
와 데이터 지연을 줄이는 AI 알고리즘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중국 화웨이는 2030~2040년 통신을 위한 AI 기술로 5G로 구현할 수 없는 제2의 지능형 네트워크가 도래할 것이며, 무선 채널의 내부 구조 이해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목표를 이루고 싶다면 불행을 멀리 하라
2021.01.16
비교하며 남들을 미워하거나 나를 미워하는 것, 시기하고 질투하는 것 모두 결국 나를
소모
시킴으로써 다른 사람이 아닌 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불행은 공짜가 아니다. 불행은 많은 흔적을 남기고 많은 유무형의 자원들을 갉아먹는다. 무엇을 하든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에 앞서 우선 이걸 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에너지 증폭시키는 마법의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1.01.16
나노입자가 빛 에너지를 흡수하면 일부는 열에너지로
소모
하고 남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소모
한 만큼 처음 흡수한 빛 에너지보다 작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어떤 나노입자는 흡수한 빛 에너지보다 더 큰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한다. 빛 알갱이인 광자가 나노입자 내부에서 ... ...
[한 토막 과학상식]화학연 연구팀 세계 최초 발견한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에 14일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나노물질은 빛 에너지를 흡수하면 일부는 열에너지로
소모
하고 나머지를 처음 흡수한 빛보다 작은 에너지로 방출한다. 이러한 하향변환 현상과 달리 일부 나노입자는 작은 에너지의 빛을 흡수해 더 큰 에너지의 빛을 방출하는 상향변환 현상을 보인다. 빛 알갱이들이 ... ...
[영상+]로봇 물고기떼 '칼군무' 비결은 '옆친구'
2021.01.14
조종하면 되는 장점이 있고 여러 기의 로봇 물고기를 구동할 땐 떼지어 움직이면 에너지
소모
를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흰 물고기 모양에 파란등 3개를 단 로봇 물고기 '블루봇'을 실험에 사용했다. 블루봇은 카메라로 다른 블루봇의 빛을 감지해서 상대의 위치를 계산해 맞춰 움직였다. 블루봇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