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뉴스
"
소모
"(으)로 총 83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토막 과학상식]AI와 자율주행의 시대, 왜 ‘3진법 반도체’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구현하면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이 줄어 든다. 그 결과 계산 속도가 빨라지고 전력
소모
도 줄어든다. 가령 숫자 128을 2진법으로 나타내려면 비트(bit) 8개가 필요하지만, 3진법에서는 트리트(trit) 5개만 있으면 저장할 수 있다. 다진법 구현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 구조의 모식도(맨 왼쪽)와 구동 ... ...
전력
소모
많은 에어컨은 그만, 고효율 제습기로 여름 더위 날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내 창업기업 '휴마스터' 사무실에 설치된 휴미컨은 제습을 활용한 냉방을 하는 '휴미컨'을 설치해 둬 온도는 29도지만 습도는 39%에 불과했다. KIST 제공 지난 21일 찜통 더위를 뚫고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내 창업기업 '휴마스터' 사무실을 ... ...
[프리미엄 리포트]'더 작게 더 빽빽하게' 반도체 집적기술은 지금도 '진화중'
과학동아
l
2021.07.24
비교해 접점이 15배 많으며, 이에 따라 발열, 소자 밀도, 연결 거리 등이 크게 개선돼 전력
소모
도 3분의 1로 줄었다”고 밝혔다. 수 CEO는 이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칩도 선보였다. AMD의 CPU인 라이젠 5000 모델에 7nm급 S램을 3D 브이-캐시 기술로 바로 이어붙였다. 두 개의 반도체는 구리선으로 연결됐으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중력붕괴에 맞서 별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만약 별이 핵융합반응의 연료를 다
소모
하고 더 이상 에너지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때에는 별의 핵을 구성하는 물질의 양자역학적인 성질 때문에 서로가 밀어내는 경향(파울리의 배타원리)이 있다. 이를 축퇴압이라고 한다.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모자이는 “다량의 매미가 분포하면 포식자는 먹이 채집에
소모
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니 일리는 있다”면서도 “다만 그 사실을 증명할 연구가 이뤄진 적이 없어 아직은 가설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 생존을 위해 땅속을 선택한 매미 미국에 서식하는 ... ...
스마트폰으로 ‘알파고’ 돌릴 AI 반도체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압축된 상태로 연산이 가능하게 해 연산 속도는 기존 대비 2배 이상 높이면서 전력
소모
는 기존 대비 2.4배 낮추는 효과를 얻었다. 연구진은 옴니DRL 반도체 칩을 인간형 로봇 적응 보행 시스템에 적용해 시험한 결과 옴니DRL이 없을 때보다 7배 이상 로봇의 보행 속도가 빨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배터리 용량 2.6배 늘리는 전처리 용액 개발"
연합뉴스
l
2021.07.15
비율을 50%까지 올려도 초기 리튬
소모
현상을 완전히 차단해 첫 충전 시 1% 이하의 리튬을
소모
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를 통해 개발된 전극은 250회 충·방전하는 내구성 시험 후에도 초기 용량의 87.3%를 유지하는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이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있으니까 어떤 물체라도 이를 뿌리치고 지구에서 멀어지려면 그만큼 자신의 에너지를
소모
해야만 한다. 이는 빛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빛은 질량이 없다. 고전역학에서는 물체의 운동에너지가 질량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빛은 고전역학에서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그 에너지는 파동의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④ 대학연구를 팀플레이로 도약시키자
2021.07.06
지원 인력의 부재로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연구활동이 아닌 다른 업무에 많은 시간을
소모
하게 되면서 연구 몰입도와 효율성도 크게 떨어진다. 이런 현실에서 이중 삼중의 부담을 떠안고 있는 대학원생들은 가장 큰 피해자라고밖에 볼 수 없다. 일본과의 반도체 소재 분쟁과 코로나19 백신 수급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은 지방세포와 췌장세포, 신경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FGFR1/KLB에 달라붙어 에너지를
소모
하고 식욕을 떨어뜨리는 신호를 내보내게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FGF21을 투여해 비만을 치료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몸 안에서 금방 파괴돼 반복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연구자들은 FGFR1/KLB에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