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뉴스
"
벌레
"(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빠 짚신
벌레
가 아들만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05.25
된다. E형 짚신
벌레
내부에서는 mtA 단백질을 막는 기작이 없으므로 자동으로 E형 짚신
벌레
가 된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는 값비싼 승용차 앞에서 아이를 업고 구걸하는 여성 사진을 표지로 삼았다. 사이언스는 부유한 사람은 계속 해서 부유해지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계속 더 ... ...
대
벌레
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살게 하면서 유전체에 일어나는 변이를 관측했다. 그 결과, 처음부터 이 나무에 살던 대
벌레
와 유전체가 비슷해지는 부위와 달라지는 부위가 동시에 나타났다. 노실 교수는 “자연 선택이 유전체 속에 비슷한 유전적 변이를 만들어서 두 생태형 사이에 유사한 형질을 발생시킨다”며 “종이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알이나 갓 부화한 새끼들을 밀어내 떨어뜨린 뒤 혼자 게걸스럽게 양모(養母)가 날라온
벌레
를 먹는다. 따라서 작은 새들도 탁란을 막기 위한 전략을 개발했다. 제비류 가운데 귀제비(Hirundo daurica)나 흰털발제비(Delichon urbica)는 둥지의 입구를 터널처럼 좁게 만들어 뻐꾸기가 알을 낳는 걸 ... ...
알면 사랑한다! 사랑하면 행동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4.28
탐사가이드북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하나, 나는
벌레
라도 함부로 죽이지 않으며, 지구 생물과 함께 살아가는 데 앞장선다.” “하나, 나는 자연과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 지난 4월 26일 이화여대 학생문화관 소극장에서 열린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할 멀쩡한 단백질을 부수게 된 것. 또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매미충 같은 매개체
벌레
들이 정상적인 꽃이 핀 식물보다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을 더 선호한다는 것. 식물을 방문한 매미충이 알을 낳은 비율도 정상 식물이 20% 수준인 반면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은 80%에 달했다. 연구자들은 이런 ... ...
전투기가 입는 옷의 재료는?
과학동아
l
2014.04.02
위한 연구도 소개한다. 이에 앞서 조민호 대구 영남고 교사가 ‘세상에 나쁜
벌레
는 없다’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4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서울 △부산 △광주 △대전 등 4개 도시에서도 연다. ‘금요일에 과학터치’에 대한 ... ...
뛰는 GMO 위에 나는 해충
과학동아
l
2014.03.19
것이다. 연구진은 “아이오와 주에서는 평균 3.6년 만에 새로운 독소에 저항하는 뿌리
벌레
가 출현한다”며 “해마다 같은 땅에 같은 품종의 옥수수를 대량으로 심기 때문에 해충이 내성을 갖도록 진화하는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다국적 종자회사들은 Cry34/35Ab 독소에 ... ...
"경쟁이 두렵다면 연구자의 길 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농업연구사 김영옥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업연구사는 학사 학위가 2개일 정도로 공부
벌레
다. 75학번인 그는 물리치료학 학사, 15년 뒤 90학번으로 화학과에 입학했던 것이다. 김 연구사는 물리치료사의 길을 걷다 연구원을 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에 대해 “매번 똑같은 일을 해야 했기 ... ...
“임신부 커피, 연한 아메리카노 무난”
동아일보
l
2014.01.27
극도로 매운 음식이 아니면 괜찮다. 닭발은 매워서 먹지 말라는 건 아니다. 임신부에게
벌레
먹은 배추나 상추, 보기에 흉측한 혐오식품을 권하지 않는 우리 전통 관습 때문에 생긴 오해다. 매운 소스가 듬뿍 발린 닭발 또한 먹어도 상관없다. Q. 연어나 전어회 등 날생선은 피해야 할까. A. 아니다. ... ...
얽힌 쿼크 쌍과 함께 웜홀이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0
시간 여행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통로가 바로 ‘웜홀(wormhole)’이다. 마치 생김새가
벌레
가 사과를 파먹어 만든 구멍과 비슷하다는 뜻의 웜홀은 블랙홀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다리다. 웜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예측되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양자역학의 난해함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