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뉴스
"
벌레
"(으)로 총 4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설날을 제외한 1년 364일 연구실을 떠나지 않는 지독한 ‘연구
벌레
’로 알려졌다. 아마노 교수는 논문의 영향력을 판단하는 학술지의 피인용 지수(IF) 등에 민감한 한국의 연구 평가 방식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논문이 실린 학술지의 피인용 지수를 중요하게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뇌가 있습니다. 골수와 뇌는 모두 순수한 지방 덩어리입니다. 이를 노리는 경쟁자는
벌레
와 박테리아 정도입니다. 그런데 팔다리의 뼈나 머리뼈는 매우 단단합니다. 특히 팔다리 뼈는 먼 훗날 무기로도 사용할 정도로 굵고 단단합니다. 이빨로는 이런 뼈를 깰 수 없습니다. 초기 인류는 돌로 뼈를 ... ...
애
벌레
한번 잡숴봐~
2014.10.08
모두 합격점을 받았다. 윤은영 연구사는 “이번에 흰점박이꽃무지 애
벌레
가 식품원료로 추가되며 곤충사육농가의 소득 증대와 곤충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미래 식량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은 장수풍뎅이와 귀뚜라미도 식용화를 ... ...
생물자원전쟁, 한국이 중재한다
과학동아
l
2014.10.05
주는 뿌리혹선충과 진딧물을 잘 죽인다. 이 곰팡이는 선충의 알무리에 있다가 부화한 애
벌레
에 기생해 성장을 억제한다. 두 곰팡이를 찾은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박사는 “해외 생물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자생생물자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올해부터는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초파리는 포도껍질이나 오래된 바나나 등에 꾀어들어 금방 수가 불어나는 귀찮은
벌레
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나 몸집이 작고 빠른 시간에 번식하며 값싼 먹이로 키울 수 있다는 특징 덕분에 초파리는 생물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훌륭한 실험체가 돼 왔다. 초파리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1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문제가 된 풀무치는 전형적인(필자 생각에) 메뚜기다. 시골에 살던 어린 시절
벌레
를 좀 무서워하던 필자도 메뚜기만은 겁이 없이 잡고는 했다. 그런데 풀무치의 몸은 보통 풀과 비슷한 녹색(귀엽다)이거나 회갈색(이건 좀 그렇다)으로 기억하는데, 이번 풀무치 떼는 등이 시커멓고 배와 다리가 ... ...
[유병언 미스터리] 사망원인 정말 알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27
둔해지고 냄새도 멀리 퍼지지 않는 겨울철에 사망한 시신은 그리 빨리 손상되지 않는다.
벌레
등의 접근이 차단된, 땅 속에 묻어둔 시신은 온전히 세균의 부패만을 기대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는 백골화 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7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거 믿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 ...
이대 박석순 교수 “큰빗이끼
벌레
유해? 수질정화 기능”
동아일보
l
2014.07.14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강원]춘천에도 등장한 큰빗이끼
벌레
- 만경강에도 ‘큰빗이끼
벌레
’ 출현…새만금호 유입 우려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일
벌레
'막 단백질'에게도 '순애보'가 있답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단백질의 구조가 장식했다. 생물학도라면 교과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그림이지만, 비전공자에게는 그저 꼬불꼬불한 라면가닥처럼 보일 뿐이다. 이 구조는 ‘나선형 구조’라고 하는데, 세포막에 박혀 있는 막 단백질에서 흔히 나타난다. 표지에서 ... ...
약초와 독초 헷갈리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4.06.05
의심하는 것이 좋다. 또
벌레
가 먹는 식물은 보통 독초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했다가
벌레
가 갉아먹은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약초와 독초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팁 중 하나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