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계통수에서 서로 멀리 떨어진 가지 사이에 선이 하나 추가돼 이어지기도 했다.이처럼 유전자 분석이 발달하면서 생물의 새로운 유전적 특성과 진화 과정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 분류 체계를 세우는 ‘분자계통학’이 등장했다. 다윈의 생명의 나무는 분자계통학을 만나면서 계속해서, 지금 이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많이 사용된다(201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분야다). 예 교수는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변형해 스스로 수용체를 만들게 하고, 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체를 분리하면 된다”며 “길항제는 박테리오파지의 수용체와 쉽게 결합해 그만큼 분리하기도 쉽다”고 설명했다. 반면 작용제는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흰쥐’ 하면 실험 쥐가 딱 떠오르쥐? 그래서 연구소에 있는 우리 친구들을 가장 먼저 소개할게. 쥐가 왜 이곳에서 활약하게 된 건지 그 이유를 알 ... 쥐도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답니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92p) 지난해 1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아시아의 64개 국가, 219개 민족, 1739명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게재됐습니다. 당연히 한국인도 포함돼 있습니다. 아시아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게놈아시아 100K’입니다. 프로젝트를 주도한 김혜림 싱가포르 난양공대 교수는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부작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편이지만, 자칫 그렇지 못한 경우는 위험할 수 있다. 유전자 변이의 빈도에 근거한 예측이기 때문에 한국, 일본 중국인 중 실제로 많은 사람이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으나, 최소한 의사들이 약물을 처방할 때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일 수는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펭수가 혈액이나 모근이 달린 깃털을 제공해 준다면 유전자를 분석해 성별을 확인해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펭수는 스타답게 ‘열애설’이 불거지기도 했다. 하지만 펭수는 공식적으로 성 정체성이 없는데, 연애 감정이 생길 수 있을까. 김 책임연구원은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데이비드 리우 미국 브로드연구소 교수팀이 모든 유전질환을 최대 89%까지 치료할 수 있는 최신 유전자 가위 기술인 ‘프라임 에디팅(Prime editing)’을 개 ...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유전질환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줄 혁신적인 유전자 치료제가 공급될 날을 기대해 본다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설명했습니다. 완두콩의 색과 종자의 모양처럼 개체가 가진 표현형마다 우성과 열성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부모 세대의 완두콩 암꽃과 수꽃으로부터 하나씩 받은 형질 중 어느 한쪽 형질만 일정한 수학적 규칙에 따라 나타난다는 겁니다. 이 수행평가는 멘델의 유전법칙을 토대로 자신이 만들고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복제 양 ‘돌리’가 등장하면서 동물 복제 연구가 본격화됐다.중국에서는 반려동물 유전자 복제 회사인 시노진이 2017년 반려견 복제 서비스를 개시한 데 이어, 2019년 8월에는 최초로 반려묘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사진). 이 반려묘는 올해 1월 사망한 반려묘로부터 추출한 세포로 만든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협력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 연구실은 연구에 필요한 ‘HIF1-α’ 유전자를 분리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해 분리했지만, 정상적인 기능이 안 나왔습니다. 대안으로 생화학적 방법이 거론됐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정제하기로 했습니다.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