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개량한 렌티바이러스 벡터가 개발됐다.현재는 개량된 바이러스 벡터들을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가령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선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인 ‘스트림벨리스’는 2016년 유럽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 ...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반으로 오류를 바로잡을 기회가 있다. 이를 DNA 복구 기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유전자를 복제할 때 염기서열 100만 개에 1개 꼴로 오류가 발생하지만, DNA 복구 기작으로 교정하면 오류가 10억 개당 1개로 줄어든다.그런데 RNA 바이러스는 보통 오류를 수정하는 기작이 없다. 코로나19의 원인인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세워봤지만 결국 증명하지 못했다. 나중에 밝혀진 실패 원인은 HPV가 워낙 여러 종류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바이러스였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지금까지 밝혀진 HPV의 종류는 130여 가지다. 1979년 추어하우젠이 이끄는 연구팀은 HPV 6형과 11형의 DNA를 확인했다. 그리고 1983년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HPV 1 ...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 1990년대 후반, 돌연 기존 연구 분야와는 전혀 다른 신경과학 분야로 넘어가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연구 중이다. 그는 2013년 뇌 신경세포가 어떻게 잘못된 기억을 만들어내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고, 2014년에는 기억이 복원되는 과정을 ‘네이처’에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표현형을 찾고, 이 중에서 질병 완화에 효과가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만 선별해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로 여러 질병에 대항할 신약을 만들기 위해 계속 연구했다. 2018년 8월 보이틀러는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TNF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10만 개의 화합물 합성 라이브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분절된 유전체를 가진 바이러스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는 유전자 중 항원 단백질이 완전히 새로운 아형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때문에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신종으로 모습을 바꾸고, 주기적으로 유행을 일으킨다. 항원소변이는 유전체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천 건의 검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소요 기간도 2~3일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이런 유전자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분류된 현재의 바이러스 체계에서 최상위 단계인 ‘계’는 총 네 가지가 있다. 우선 닭, 돼지와 같은 동물에게 전염성 빈혈이나 호흡기 질환, 장 질환 등을 유발하는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자신이 더 빨리 증식할 수 있도록 고세균이 황을 더욱 많이 소비하게 보조하는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한편 80도의 고온과 수소이온농도(pH) 3.0의 강산성 환경에서 사는 생물을 숙주로 삼는 루디바이러스(Rudivirus)도 있다.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유전물질을 온전하게 보존하는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과거와 동시대인들의 도움으로 가능했다”며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지만 H2항원 유전자를 함께 발견한 피터 고어 박사 덕분에 연구의 원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쌍둥이인 소를 대상으로 서로의 피부를 이식한 뒤 변화를 살폈다. 당시 연구자들은 유전자가 100% 같은 일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이란성 쌍둥이 소에서는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두 경우 모두 면역거부반응이 없었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