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버"(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있다. 최근에는 1백여명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3차원 가상현실 온라인 게임인 '사이버 스트라이크'를 유치해 더 많은 게임 매니아들을 유혹하고 있다. 현재 지니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는 세계 최대의 게임 전용 네트워크인 '이미지네이션(Imagination)'과 맞먹는 수준.금년 말경에는 윈도즈용 ...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바꾸어 놓을지를 깨닫지 못하고 있다."사이버스페이스는 이미 우리 곁에 다가와 있다. 사이버펑크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디스토피아 세계의 도구가 될 것인지, 아니면 정보사회의 삶을 풍요롭게 해줄 미디어가 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사람은 바로 여러분이다 ...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과학동아 l1994년 04호
- 생태학 고생물학 미생물학 분석화학 해양학 등 자연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는 물론,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나 로봇공학 같은 공학의 영역에까지 지식의 폭을 넓혔다.그는 특히 자신의 주전공 분야인 대기화학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1971년에는 자비로 해양조사선 새클턴 호(RV Shackleton)를 타고 ...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과학동아 l1994년 04호
- 부분은 매우 미미할 수밖에 없다. 말하자면 그는 인간을 제외한 지구적 유기체의 사이버네틱스적 속성을 신화 속의 가이아에 투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다시 승화되고 신격화되는 과정에서 인간과의 교섭대상이 되는 신적 존재로 부상하는 것이다.만일 가이아 이론에서 러브록이 ...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과학동아 l1993년 12호
- 개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하이퍼(hyper)미디어, 울트라(ultra)미디어, 인터(inter)미디어, 사이버(cyber)미디어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한국컴퓨터연구조합이 전자통신연구소와 수탁과제로 수행한 '국내 멀티미디어 기술현황과 시장전망에 관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분야의 세계 ... ...
- 아시모프의 삶과 꿈과학동아 l1992년 05호
- 당시 유명한 과학소설편집자인 존 캠벨과 토론을 벌이다가 탄생한 것이다(존 캠벨은 '사이버네틱스'의 창시자 중 한명인 MIT의 위너 교수 제자였다). 아시모프가 로봇 소설을 발표한 것은 19세 때부터며, 그 뒤 그의 로봇소설은 일관된 배경을 두고 '강철도시'(The Caves of Steel, 1954) '벌거벗은 태양'(The ...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창조했다. 사이버네틱스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배의 방향을 잡는 키잡이'라는 뜻이다. 사이버네틱스는 보통 인공두뇌학이라고 불린다. 이는 모든 생물체의 일반적인 적응과정을 수리적으로 정형화하는 것으로 이후에 인공지능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그의 책은 '인간활용'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과학동아 l1991년 07호
- 독점할 수는 없었다. 스타100으로 쓰라린 실패를 경험한 CDC는 그 경험을 바탕으로 사이버(Cyber)203이라는 고속컴퓨터를 만들어 미해군의 기상분석실, 해군수리해양학센터에 설치했다. 이후 사이버205를 발표하여 본격적으로 크레이사에 도전했다. 크레이사의 독점은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CDC는 ...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없다.한편 같은 전시중에 독일에서는 이른바 V1, V2로켓이 등장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라는 새로운 이론분야가 개척됐고 이것이 레이더 기술과 결합, 공격 방어체제의 자동화에 극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하긴 일본측에서도 대공포화의 자동조종화가 상당수준까지 개발돼 ...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단순한 모델을 만들어 그것이 논리 연산계로서 완벽함을 증명했다. 그리고 위너의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로젠 블라트의 퍼셉트론(perceptron)에 의해 학습하는 인공 두뇌의 구체적인 설계지침이 주어졌다. 즉 1940~1960년에 걸친 이 시기는 뇌를 모방하려는 컴퓨터 연구의 제1차 융성기라고 부를 ... ...
이전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