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여
봉사
이바지
도움
기부
출자
기고
d라이브러리
"
공헌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이해돼, 공학 연구와 생산 현장에서 응용수학이 직접 쓰이고 있다. 비행기 발전에
공헌
한 수학의 역할이 바로 그 예다. 비행기 주위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지배방정식인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에 대해 수학자들이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비행기술이 보다 빠르게 발전한 것이다.수학의 역할을 좀더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루이스 토마스 상(Lewis Thomas Prize)을, 그리고 2000년에는 과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그의
공헌
을 인정받아 종교계의 노벨상이라 할 수 있는 템플턴상(Templeton Prize)을 수상했다 ... ...
신약개발에
공헌
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가속기' 하면 소립자 연구에만 이용되는 어마어마한 돈덩어리 장비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과연 그럴까. 국내 유일의 가속기가 있는 포항공대를 찾아가보자올해 3월말 신약개발 관련 벤처기업인 크리스탈지노믹스사의 황광연 박사 일행은 포항공대에 있는 국내 유일의 가속기센터에 10일간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자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능력 있는 자는 누구나 새로운 것을 발견해 인류를 위해
공헌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도 자원이 점점 고갈돼 가는 육지만 보고 한숨쉴게 아니라 눈을 해양으로 돌려 준비하고 능력을 키워야 할 때다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있다. 그 결과 유용한 아미노산까지 얻을 수 있어 환경정화와 자원재활용에 직접적으로
공헌
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화가 가능한 자원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소재와는 달리 환경친화적이며 오랜 기간동안 저장할 수 있고, 간단한 온도조작만으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획기적인 생물소재라 할 수 ... ...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피해가 막대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인류가 공중보건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데 큰
공헌
을 했다.그러나 콜레라를 해결함과 동시에 인류가 전염병의 공포로부터 벗어나기까지 웃지 못할 사건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났으니…. 여기에서는 콜레라를 해결하고도 역사의 패배자로 남을 수밖에 ... ...
내가 타본 일본의 하이브리드자동차, 프리우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인기를 모았다. 프리우스가 인기를 끌었던 가장 큰 이유는 연비절감 보다는 환경보호에
공헌
이 크다는 것이었다. 현재 인기리에 팔리고 있는 도요다의 푸리우스에 관해 일단 그 구조부터 설명해보련다.프리우스는 일반차에 쓰는 것과 동일한 1.5L DOHC 58마력 엔진을 달았고, 전지로 회전하는 모터가 ... ...
폭력과 자기파괴 일삼는 파월장병 하얀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컴퓨터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은 편리하고 풍요로운 산업사회를 만드는데 결정적인
공헌
을 했다. 그러나 인류가 과학의 위용을 가장 절실하게 체감한 사건은 불행하게도 대량 학살로 물든 두차례의 세계대전이었다.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대전은 기관총과 탱크, 미사일, 전투기, 잠수함 등 대량 ... ...
③ 생리ㅣ 부작용 없는 치료제 약속하는 인공효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사용될 수 있다. 생체 밖에서는 우리가 의도하는 촉매로 작용해 원하는 산물을 얻는데
공헌
을 하게 된다. 우리 몸에 쓰이는 약과 같은 특수한 화합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말이다.그러나 인공효소의 진가는 생체 내와 같이 여러개의 기질들이 섞인 곳에서 나타날 것이다. 촉진하는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단백질 연구는 게놈 분석과 마찬가지로 인간이란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데 결정적으로
공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일에는 이전의 다른 어떠한 분야보다 훨씬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특히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의 인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