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헌"(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과학동아 l2002년 03호
- 편의 논문을 통해 일반상대론의 양자역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끈이론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국제이론물리연구센터(ICTP)에서 ‘2001년 ICTP상’ 수상자로 선정된 최초의 한국인에게 보낸 수상 이유다. 주인공은 서울대 물리학부의 이수종 교수(sjrey@phya.snu.ac.kr ...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던 데는 한가닥 DNA의 제조기술이 큰 공헌을 했다.| 인핸서 |유전자가 발현하는 정도를 늘려주는 촉진인자다.| 인트론 |DNA염기서열 중에서 단백질 정보를 갖지 않는 유전자 부위. 여러 조각으로 구성된 DNA는 일부 조각만이 단백질 정보를 함유하고 있다. ...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수상 이유는 라듐과 폴로늄의 발견과 각 원소의 성질에 관한 연구로 화학 분야 진보에의 공헌이었다. 그녀는 또한 같은 해 세계 물리학자들의 전체회의인 제1차 솔베이 회의에 아인슈타인, 푸앙카레, 플랑크 등과 나란히 초대돼 세계적 과학자의 대열에 당당히 서게 됐다.성공의 절반은 남편 덕 ...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사람이 지속적으로 페달을 돌릴 수 있게 했을 뿐 아니라 바퀴의 크기를 줄이는데도 공헌했다. 예를 들어 페달의 체인휠(chain wheel)이 42개의 톱니를 갖고 뒷바퀴의 휠이 14개의 톱니를 가진다면 그 비율은 3 : 1이 된다. 이는 페달을 한바퀴 돌리면 뒷바퀴는 세번 회전한다는 의미다. 그러니까 2m가 넘는 ...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초청 강연을 하는 등 국내 첨단 기능성 고분자 소재 개발의 원천기술을 확보하는데 공헌한 것으로 평가받는다.뿐만 아니라 김박사는 한국고분자학회, 대학화학회,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등에서 이사로 활동중이다.과학진흥분야 - 이기호이기호 교수는 현재 이화여대 컴퓨터학과에 재직중이다. ... ...
-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소장을 맡았다. 그는 후배 양성에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해 발생생물학계에 커다란 공헌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뉘셀라인-폴하드로부터 지도를 받은 대부분의 여성 과학자들은 이미 발생생물학계에 선구적인 연구 업적들을 남기고 있다.하지만 여전히 과학계 전반에서 여성과학자들에게 ...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일화는 유명하다. 텔레타이프는 키보드가 박힌 컴퓨터의 원조가 됐다는 면에서 큰 공헌을 했지만, 한줄 보내고 결과를 받는 식으로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를 했다.그 후 브라운관을 갖춘 터미널이 등장한다. 터미널은 대형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장비로 모니터와 키보드를 갖춰 오늘날 컴퓨터 ... ...
- 우리 삽살개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삽살개의 보존과 연구에 힘쓰고 있다. 1992년 삽살개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데 크게 공헌했으며, 같은 해에 사단법인 한국삽살개보존회를 설립해 지금까지 단체를 이끌어 오고 있다. 삽살개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우리 토종개로서 삽살개를 인식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발전하는데 마취법과 무균법이 절대적인 공헌을 했다. 마취법은 수술시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로부터 알코올이나 아편(마약의 일종)을 이용해 수술의 어려움을 일부 해결했으며, 19세기에 들어서서 아산화질소(N2O), 에테르, 클로로포름 등이 마취 효과를 지닌다는 사실이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개발했다. 이로 인해 파킨슨씨병 치료제인 도파의 L-형 광학이성질체의 합성에 결정적 공헌을 했다. 후에 일본 나고야대의 노요리 교수는 이러한 비대칭 환원반응을 더욱 개량해 항생제 등의 합성에 응용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놀스 박사와 노요리 박사는 2001년 노벨화학상의 반을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