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d라이브러리
"
공전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01
지상관측시설을 이용한 발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들은 지구궤도 안쪽을
공전
하는 NEO들인데, 지구에서 볼 때 늘 태양 근처에 머물기 때문이다. 충돌가능성 변동되기도이미 수많은 소행성들이 발견됐는데 새로운 소행성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먼저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번 촬영한 후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01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공전
하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을 가만히 그려보면 지구에서 보는 금성이 해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에도 각도는 약 47˚이다. 이때를‘최대이각’이라고 한다. 최대이각은 두번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12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위치가 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들이 목성을
공전
할 때 다음 세가지 현상을 자세히 관찰해보자. 첫째, 목성의 표면에 가끔씩 나타나는 까만 점을 살펴본다. 이것은 위성이 목성 앞을 지나갈 때 위성의 그림자가 목성 표면에 투영되는 현상이다. 둘째, 4대위성이 늘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12
이것이 빙하기가 발생하는 것과 무슨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측하게 됐다. 그러나 지구
공전
궤도가 흔들리는 정도는 아주 미약해서 지구를 빙하기로 이르게 할 정도는 아니라는 계산이 나오면서 빙하기의 발생원인은 다시 미궁에 빠지게 됐다.1981년 이탈리아의 기상학자 로베르토 벤지와 그의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11
유사하며 전체에 걸쳐 고른 밀도분포를 보였다.에로스의 자전주기는 5.27시간,
공전
주기는 1.76년이다. 표면 중력가속도는 2.1-5.5mm/${초}^{2}$으로 지구에 비해 수천배나 작기 때문에 만일 체중이 1백kg인 사람이 에로스에서 걷는다면 체중이 23.5-56.1g 사이로 변하게 된다.에로스의 탈출속도는 3.1-17.2m/초의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11
한쪽으로 비스듬히 누워 태양 주위를 도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남극과 북극 지역은
공전
주기의 절반인 42년 동안 각각 태양을 바라보게 되고, 천왕성의 한쪽에서는 42년 동안이나 낮이 계속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밤이 된다. 아마도 천왕성이 갓 태어날 무렵 거대한 충돌이 일어났기 때문에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10
것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하늘의 북극과 달이 별자리를 정하는 기준이었다. 달이 지구를
공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27.3217일 동안 하루씩 달이 이동해가는 천구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28수가 정해져 사용됐다.그런데 황도는 왜 12부분으로 나누었을까? 이것은 황도 상을 태양이 한바퀴 도는 동안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10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관념, 이를테면 당시에 통용되던 모든 천체는 지구 주위를
공전
한다는 믿음에 도전하는 하나의 엄청난 사건이었다. 이 사실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을 뒤엎을 중대한 발견이었다.갈릴레이의 발견은 계속됐다. 그는 토성의 양옆에 이상한 점이 있다는 사실을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10
6세기 코페르니쿠스는 천체가 지구가 아닌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
하고 있다는 태양중심설을 주장했다.이로부터 약 4백년이 흐른 20세기초 허블(Edwin Hubble,1889-1953)은 인류우주관에 '제2차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혁명을 일으킨다.혁명의 내용은 간단하다.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 ...
태양계 밖 행성 10개 무더기 발견
과학동아
l
200009
있다.위의 방법들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행성을 찾는 식측정법이 있다. 별 주위를
공전
하는 행성이 별을 가릴 때의 광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행성의 존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검출한 행성은 1개(HD209458)에 불과할 정도로 탐색이 어렵다. 관측자의 시선방향에서 식현상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