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d라이브러리
"
공전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05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여러 모습의 고리를 보인다. 자전축이 26.75° 기울어져 있고
공전
궤도면도 지구 궤도면과 2.5°의 차이가 나므로 고리면의 기울기는 지구에서 볼 때 0°에서 29°까지 바뀐다. 고리면의 각도가 바뀌는 주기는 약 7년 3개월이다. 기울기에 따라 고리가 잘 보이는 때와 그렇지 못한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05
더 좋은 환경이라고 했는데, 달은 지구와 떨어진 거리가 일정하잖아요. 화성은 다른
공전
구조를 갖고 있어서 거리가 불규칙한데, 그렇다면 화성과 지구를 왔다갔다 할 때 달과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까요?조박사_ 태양을 끼고 지구와 화성이 도니까 태양빛은 일정하게 받습니다. 지구로부터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04
대표하는 으뜸별이며, 바로 전갈의 심장이다.행성 중에서 특히 붉게 보이는 화성이
공전
하다가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근처를 지나기도 한다. 이때 화성과 안타레스의 붉은 빛이 마치 서로 경쟁하는 듯 보인다. 화성은 전쟁의 신인 아레스라고도 불리는데, 안타레스는 ‘화성(아레스)에 반대(안티)하는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과학동아
l
200104
행성들은 지구
공전
궤도가 하늘에 투영된 황도 위를 움직이고, 지구의 달은 달의
공전
궤도가 하늘에 그려진 백도를 따라 움직인다. 그런데 황도와 백도가 매우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행성들과 달은 황도상의 별들과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한다. 뿐만 아니라 행성들은 다른 행성과 마주치기도 하고 ...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
과학동아
l
200104
어제 21시 위치에 거의 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제(3)의 정답은 B가 된다.달의
공전
주기가 3일로 빨라져도 지구의 자전주기보다 여전히 작으므로 달은 동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4)의 정답은 ×다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03
길이가 해의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지구는 23.5˚로 기울어져
공전
한다. 따라서 일년을 주기로 해의 고도는 달라진다. 해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는 하지이며 가장 낮을 때는 동지이다. 따라서 동지 때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길어진다. 이 해시계의 가로선을 살펴보면 중앙은 3월22일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칭동이란 현상으로 인해 지구에서는 달 전체 표면의 59% 정도를 볼 수 있다. 칭동은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이고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달이 상하 좌우로 서서히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같은 모양의 달사진이라도 가장자리 경계가 달라지는 것은 칭동 때문이다.3. 보름달은 반달일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03
달이다. 즉 지구가 해를 한바퀴
공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한해요, 달이 지구를 한바퀴
공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한달인 것이다. 이렇게 멋진 해라는 이름을 두고 굳이 ‘태양’이라고 불러야 하는지 생각해볼 일이다. 옛날 달을 부르던 ‘태음’이라는 말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생각하면 더욱 ...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02
공전
궤도의 기울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하늘에서 비슷한 길, 즉 황도(하늘에 투영된 지구
공전
궤도)상에 나타난다. 목성도 예외가 아닌데, 해마다 황도상의 12 별자리 중 하나 정도씩 옮겨간다. 왜냐하면 목성이 태양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약 11년이 걸리기 때문이다.그리고 지구에서 보는 목성의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01
공간이었다. 독일의 요한네스 케플러(1571-1630)는 행성의 궤도가 타원이고 행성들의
공전
주기와 거리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지만 행성들의 거리가 어떻게 결정됐는지는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케플러도 무언가를 직감했던지 1596년 이곳에 새로운 행성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