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7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제기한 것으로, 결정적인 문제일 경우 가속팽창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들이 곧바로 반박
논문
을 아카이브에 올릴 것이므로 학자들의 향후 논쟁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 센터장은 “우주론 분야에서 가속팽창 연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연구는 기존에도 존재했다"며 "이런 연구가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타이가)을 태우는 대형 산불을 증가시킨 원인이 기후변화라고 주장하는
논문
을 표지
논문
으로 실었다. 올 여름 유럽을 강타한 열파(폭염)도 산불을 일으킨 주범으로 꼽힌다. 1979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에서 발생한 산림 건조화의 55%가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 때문에 발생했으며, 이 때문에 1984년 ... ...
전기차 배터리 저장용량·충전속도 두 마리 토끼 다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있다. 상온에서 가교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온 열처리가 필요없는 것도 장점이다. 연구
논문
의 1저자인 류재건 포스텍 박사는 “실리콘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교제를 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진 교수는 “가교제와 결합한 천연 고분자 바인더는 강한 결합력, ... ...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VR용 디스플레이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김상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윗줄 왼쪽에서 두번째)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활용한 고해상도 LED 디스플레이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국 ...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원이 참여한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표지
논문
에 지난달 28일 실렸다. KAIST 제공 ... ...
ISS 임무 중 혈전 발견된 우주인, 원격의료 치료 받고 무사귀환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개인신상을 보호하기 위해 정확한 치료 시기 등 우주비행사를 특정할 민감한 정보는
논문
에 공개하지 않았다. 노스캐롤라이나대와 루이지애나주립대에 따르면 ISS의 한 우주비행사는 ISS에 거주한 지 2달이 지난 시점에 목 정맥에서 심부정맥 혈전증(DVT)을 발견했다. DVT는 오랜 기간 움직이지 ... ...
노벨화학상 수상자, 국제학술지 '
논문
철회' 파문 "실험 재현 불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고통스럽지만 이렇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며 “모두에게 사과한다”고 밝혔다. 그는 “
논문
을 제출할 당시는 조금 바빴다”며 “내 할 일을 잘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널드 교수의 빠른 인정과 사과에 대다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아널드 교수가 게재한 사과 트윗에는 ‘정직성과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 공동추진목표의 이행상황을 평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4
SDGs)’의 이행상황 정량화 방법을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2일자 표지
논문
으로 발표했다. 지속가능발전 목표의 전체적인 이행상황을 정량화하는 방법이 개발된 건 처음이다. 2015년 전세계 193개국이 참여해 만든 지속가능발전목표는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Leave no one behind)’을 ... ...
현택환 IBS 단장 "어려운 한 해 보낸 IBS…외국인 단장 불안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세계적 석학으로 국제 학술정보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매년 말 발표하는
논문
피인용 기준 최상위(상위 1%) 연구자에 2014~2019년 연속으로 선정됐다. IBS 출범 직후인 2012년부터부터 단장으로 활동해 왔으며, 올해 8년차를 맞아 연구단의 존립을 결정할 평가를 앞두고 있다. 현 단장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
2020.01.03
출판한다. 하지만 흥미로운 사실은 이렇게 박사후연구원과 학위과정생이 출판하는
논문
의 숫자가 전체 실험실 규모가 10명을 넘어가면 더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향력 있는 연구를 출판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연구실의 규모는 10명에서 15명 사이였다. 가장 이상적인 ... ...
한국 AI 대학
논문
수 기업수 '갈 길 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분야 1위는 영국으로 55개 대학교과 대학원에 AI학과를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AI
논문
수는 2018년 기준 37건으로 7개국 중 6위였다. 중국이 440건으로 1위로 나타났으며 미국과 유럽, 인도가 그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AI 스타트업 수는 465개로 1393개의 미국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반면 AI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