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유전자 가위’로 유전병 유전자 교정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전될 확률을 50%에서 27.6%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기존에는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킨 뒤 유전자 가위를 주입해, 같은 배아에서도 유전자가 교정되지 않은 세포가 섞여있는 모자이크 현상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정자와 난자에 유전자 가위를 동시에 주입해 유전자 교정의 정확성을 높였다. doi:10.10 ... ...
- [과학뉴스] 비트코인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미국 대통령이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한다면 화염과 분노에 휩싸일 것”이라고 경고한 뒤 3453.16달러(약 392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블록체인(데이터 분산저장 기술)을 활용한 전자화폐 이더리움 역시 올해 1월 1일 8.09달러(약 9000원)에서 8월 15일 229.21달러(약 26만 원)로 약 ... ...
- [과학뉴스] 푹 자야 운동도 잘 한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뇌 부위에 전극을 꽂아, 뇌파 측정 장치를 달아 쥐가 움직일 때마다 뇌파를 기록한 뒤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MI)를 이용했다. BMI란 뇌파를 이용해 로봇 팔과 같은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이 실험에서는 쥐의 움직임에 따른 뇌파 변화를 기록하고 분석하는 ... ...
- [과학뉴스] 세포벽으로 ‘생체 종이’ 만들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교수팀은 돼지와 소의 심장, 난소, 자궁, 신장, 간,근육 등의 조직에서 세포를 제거한 뒤, 세포벽을 구성하는 세포외기질 단백질을 이용해 얇은 종이를 만들었다. 각 종이에는 원래 장기가 세포를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촉진하는 생화학물질이나 단백질이 남아 있다. 연구팀이 소의 난소 조직을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빗겨가지 못했다. 북쪽으로 약 1도 가량 기울어져 있었는데, 지난해 지진이 일어난 뒤 약 0.1도 가량 더 기울어졌다. 정(井)자석 틈새도 약 5cm 가량 벌어졌다. 우리는 2009~2010년 KAIST 지오센트리퓨지 실험센터와 함께 지진이 첨성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진행했다. 약 15분의 1 크기로 축소한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귀국했다. 한국은 오히려 아이 맡길 곳을 찾기가 어려웠다. 남편은 한국 기업으로 옮긴 뒤 야근이 늘었고, 어린 두 아들을 돌볼 사람은 그뿐이었다. 육아에 전념했다. 그렇게 연구 경력이 끊겼다. 폭염 속 물고기 지키는 기술 개발이 연구사는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 ‘여성과학기술인 R&D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리보다 낮아 잘 깨진다. 이 수석연구원은 “자기냉동합금을 처음부터 분말로 만든 뒤 고분자 수지와 결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내구성은 높였지만 아직 성능이 낮아 개선할 방안을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 냉장고를 비롯해 수많은 기계 장치의 문제점이 소음인 만큼, 스스로 소음을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등장한다. 그런데 이 뿔이 정작 수컷들끼리 싸울 때는 최악의 무기가 된다. 뿔이 뒤로 나 있는 바람에, 수컷은 무릎을 꿇고 앞다리 사이로 고개를 푹 집어넣어야 간신히 뿔로 상대방을 위협할 수 있다(얼마나 목이 아플까!). 왜 자연선택은 오릭스의 뿔이 정면을 향하게끔 설계하지 않았을까. 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탄생한 ‘인생샷’ 제조 앱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워털루대학교 컴퓨터과학과 교수팀은 앱을 만들기 위해 먼저 3차원 가상 모델 6명을 만든 뒤 얼굴의 각도와 크기, 빛의 방향을 달리하며 셀카 수백 장을 가상 카메라로 찍었어요. 그리고 2700명에게 좋은 사진과 나쁜 사진, 애매한 사진을 3개씩 선택하게 했어요. 그 결과를 토대로 얼굴의 크기와 위치,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 있다. 바로 ‘우주배경복사’ 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퍼져나가면서 남긴 흔적이다. 편평하다★ 넓고 평평하다는 뜻이다. 우리에게 날아온 우주배경복사를 분석하면 우주에 물질이 어떻게 퍼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이론으로 계산한 우주의 임계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