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4색 정리는 컴퓨터로 해결한 대표적인 수학 문제입니다. 컴퓨터의 손을 빌린 만큼 증명 과정도 너무 길어서 다 읽고 확인한 사람이 없지 ... 정리도 베크너의 문제처럼 기발한 아이디어로 컴퓨터를 쓰지 않고 풀 수 있을까요? 100년 뒤로 이동하는 타임머신이 있다면 가서 물어보고 싶습니다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보시려면?Intro. 작을수록 더 위험하다?! 미세 플라스틱의 습격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Part 3. 미세 플라스틱 사람에게 돌아오다!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크다”며 “여름철 태닝을 한 사람도 레이저 제모는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또 시술 뒤에는 땀이 나는 운동도 가급적 피해야 한다. 땀으로 배출된 노폐물 속 세균이 시술 부위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털이 많은 기자에게 레이저 제모는 곧 눈물이었다. 모낭이 몰려있는 턱과 인중 부위를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런 차이는 베이스캠프에 도착한 뒤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줄어들었다. 보통 사람들도 고지대에 적응하면서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변해간다는 뜻이다. 지방산화량 차이도 중요하지만, 연구팀이 발견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손상이 생긴 환자라면, 이 환자의 피부세포를 떼어다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든 뒤, 다시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이식할 수 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자체가 환자의 체세포에서 시작한 것이기에 환자가 이식거부반응을 일으킬 염려도 없죠. 자폐증 발달 과정을 밝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아니라 뺄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리라.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말뭉치 데이터에서 학 뒤에 규가 나올 확률 10%에 30%의 가중치를, 검색어 데이터에서 학 뒤에 규가 나올 확률 80%에 70%의 가중치를 둬서 최신 경향을 반영한 결과를 계산할 수 있지요. 이렇게 59%의 확률로 학규가 나온다고 예측하는 겁니다. 각 사용자가 쓰는 어휘나 문장패턴을 데이터로 활용해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시작하는 보통의 수학 수업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우오오!” 발표가 끝난 뒤 이어지는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환호가 터졌다. ‘카훗’이라는 앱을 활용해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스피드 게임을 하다 나온 소리였다. 교사가 미리 만들어 놓은 문제를 모니터에 띄우면, 학생들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2×3 촘프를 부분순서집합으로 바꿔 보도록 하죠. 우선 모든 조각을 좌표로 나타낸 뒤 한데 모아 집합 {(1, 1), (1, 2), (2, 1), (2, 2), (3, 1), (3, 2)}를 만듭니다. 이 집합에서는 좌표의 가로와 세로가 모두 크거나 같은 좌표를 ‘크다’고 할 거예요. 따라서 (2, 2)는 (2, 1)보다 크지만 (3, 1)과는 ...
- [에디터 노트] Back to the Science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홍역을 치렀다. 이런 인사는 이번 정부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낯선 방식이다. 한 달 뒤면 추석이다. 황금연휴를 넘어 다이아몬드 연휴쯤 된다. 지난 45억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물론 한가위 달이 뜬다. 세계는 다시 달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물론, 일본도 중국도, 인도도 달로 향한다. ‘백 투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