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이 밖에도 가상세포는
학생
들이 의학이나 생물학을 공부할 때 활용될 수 있다.가상생체모델과 더불어 최근 중요하게 연구되는 분야는 가상질병모델이다. 질병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고 예측함으로써 신약 후보물질이 실제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갯벌들을 일주했다는데 모두들 뿌듯해 했다. 익산 지원중 김인숙 교사는 “내년부터
학생
들을 데리고 갯벌탐사에 나서겠다”며 “이처럼 다양한 갯벌이 앞으로도 잘 보존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전 동대전고 임은순 교사는 “4박5일간 함께 하며 갯벌생태계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 ...
3M 사이언스캠프 - 지성·열정·마법의 잔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공계 기피라는 사회현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캠프를 마친
학생
들의 반응은 더욱 뜨거웠다. 서재민(서울 신반포중 1년)군은 “나는 행운아구나”라며 “커서 과학자가 된다면 사이언스캠프의 덕을 잊지 않고 성공하게 되면 나도 이런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이들을 키우고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있었다. 정확한 명칭이 없었던 만큼 그 존재조차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지금은 초등
학생
들도 그 이름을 쉽게 부를 정도로 ‘유명인사’ 인 블랙홀이 불과 40여년 전에는 ‘무명인사’였던 것이다. 여기에는 2백년에 걸친 기존 과학이론과 새로운 이론의 대립, ‘거장’ 들과 ‘신인’ 들 사이의 ... ...
최첨단 연대측정법 OLS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학생
들은 9월 초 다시 한번 이곳을 찾아 실험 결과를 직접 발표하고 다른 팀에서 체험한
학생
들과 경합을 벌인다. 최 박사는 “우리 팀이 1등할 겁니다”라며 은근히 기대 중이다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저장하기 전에 재구성하는 기능이 자는 동안 향상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부하는
학생
들에게 학습능력을 키우기 위해 잠자는 시간을 무조건 줄이기보다는 자신에게 적절한 시간동안 숙면을 취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권하고 싶다.‘미인은 잠꾸러기’ 라는 말이 있다. 미 국립정신건강연구소 그리거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받은 상태다. 이 중 대전 1·2공단 환경 개선 사업은 한창 진행 중이다. KAIST 환경공학과
학생
10여명이 해당 지역 주민들을 인터뷰하면서 환경기술지도를 작성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토양과 수질오염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이밖에 원자력 발전과 이용에 관해 원자력 전문가들과 환경단체 ... ...
한국, 국제물리올림피아드 준우승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3년) 안현석군(대구과학고 3년)과 이유진양(민족사관고 3년)이 은메달을 차지해 참가
학생
전원이 수상했다.40개국 1백60명의 청소년들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미국이 금메달 4개로 1위, 중국 싱가포르 영국이 금메달 2개와 은메달 2개로 공동 2위를 차지했다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러플린, KAIST 총장 취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KAIST의 한 입시 관계자는 “8월 2일부터 대학입시 원서교부를 시작하는데 은근히 우수한
학생
들이 몰릴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된다”고 얘기해 KAIST 내부의 들뜬 분위기를 암시했다. 예년보다 수험생 부모들로부터 문의전화가 많이 온다는 얘기도 덧붙였다.앞으로 러플린 총장은 KAIST 총장 공관에서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무더위가 싹 달아난다. 하지만 정작 저온공학 연구실의 정상권 교수와 석박사 과정
학생
들은 여름을‘이열치열’로 이겨내고 있다.“저온공학 연구실에서는 열정을 가진 자만이 ‘얼지 않고’ 극저온 실험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정 교수의 설명이다. 도대체 온도가 얼마나 낮아야 ‘극’ 이라는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