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제자
생도
학도
피교육자
학상
동공
d라이브러리
"
학생
"(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금성이 돌고 하늘에는 커다란 목성과 토성이 달려 있다.무지개빛 보석과 광물 가득 “
학생
들이 공룡에 열광한다면 어른들은 이곳에서 보석에 매혹되지 않을까요. 최근 세계박물관대회 방문차 이곳에 온 외국인들도 보석관을 보면 다들 아름답다고 야단입니다.”외국의 유명한 자연사박물관에 가 ... ...
플라스마로 중금속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함께 담배에 들어있는 중금속을 검출한 후 청소년들의 환경교육에 관심이 많아졌다.
학생
들이 앞으로 담배에는 손도 대지 않겠다고 다짐할 정도로 교육의 효과가 높았기 때문이다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협동 연구도 많이 진행했다.” 황 교수에 대한 한 동료 교수의 기억이다.“항공대
학생
시절부터 건실했다. 아시아나항공에서 6년간 기장을 했고 총 비행시간이 1만 시간을 넘는 베테랑 조종사였다. 동료 교수였지만 내가 아끼는 제자이기도 했다.” 은 교수에 대한 또 다른 교수의 기억이다.두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논문을 찢어버렸다고 한다. 그들에게 직접 해보기 전에는 모른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학생
들과 같이 실험실에서 팔을 걷어 붙이고 도전했다.“휴머노이드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과 공존하는 겁니다. 제가 만들려고 하는 것도 사람의 친구가 되는 로봇입니다. 우리와 비슷하게 생겨야 정이 가지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증명하라.’ 고도의 추상적 논리와 창의력이 요구되는 이런 문제들이 대부분이어서 본과
학생
들도 골치아파하는 과목이었다. 하지만 진 장관은 난제를 푸는 과정이 너무 흥미로웠고, 결과는 항상 A플러스였다.하지만 진 장관이 ‘딱딱한’ 학문에만 재능을 보인 것은 아니다. 어린 시절 미술이나 ... ...
과학과 인문학의 경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결합시킨 새로운 가능성을 꾸준히 모색하고 있기 때문이다.“‘T자형 인간’이 되라고
학생
들에게 강조합니다. 다양한 분야를 넓게 알면서도 관심을 갖고 있는 영역은 누구보다 깊게 알 필요가 있죠. 여러 세계를 접하면서 그 속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각 분야들의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것은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초조한 마음으로 실험결과를 기다리던 KAIST 혈관내피연구실의 조정현 박사와 석사과정
학생
김경은씨는 서로 마주보며 환한 미소를 지었다. 현미경에 연결된 모니터에 생쥐의 기관지와 귀의 모세혈관에서 마치 나뭇가지처럼 새로 자라고 있는 혈관의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1주일 전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했던 사람이 등장해 ‘번개방지 헬멧’을 광고하는가 하면, 늦잠을 자느라 지각한 초등
학생
이 배낭로켓인줄 착각하고 자신의 책가방을 메고 베란다에서 뛰어내렸다가 사고를 당한 소식이 저녁뉴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할지 모른다.조앤 K 롤링의 소설 ‘해리 포터, 마법사의 돌’ 에 나오는 ... ...
"나도 과학자" 어려운 문제에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지도한 호남제일고 홍인천 교사는 “학교에서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토론식 연구가
학생
들에게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평가했다.한국 미래과학자 탐구토론대회는 청소년에게 기초과학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총 23개팀이 수상의 ... ...
균열 스스로 진단하는 똑똑한 콘크리트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정수씨의 말이다. 김씨와 석∙박사과정 12명의
학생
들은 콘크리트를 직접 만들어 연구하느라 일년 내내 손이 마를 날이 없다.건설재료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잘 변하지 않아야한다. 가장 변화가 적으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건설재료는 돌이다. 하지만 수많은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