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Ⅱ 항
공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엔진의 부품수를 줄여 엔진의 무게를 가볍게 함으로써 항
공기
의 성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또 2차원 형상을 갖고 분사가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이 노즐은 가속 급선회 급가속시에 매우 유용하다. 게다가 순항시 항력을 감소시키고 연료를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터널 속서는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주행연료비가 50% 이상 더 소요된다. 둘째로
공기
가 압축됨에 따라 승객들이 귀의 통증(耳痛)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열차를 비행기처럼 완전 밀폐시켜야 한다. 터널공사비도 평지보다 더 드는 것은 말할 나위 없다.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런 악조건에서 시속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없다. 단지 차이점이 있다면 산소의 공급원이 다를 뿐이다. 물체가 연소할 때는 산소를
공기
로부터 공급받지만, 폭죽은 산소를 그 내부에 가지고 있다.폭죽이 터질 때의 갖가지 아름다운 색깔들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특별한 화학물질들이 첨가돼야만 한다.당연한 얘기지만 폭죽이 어떤 색깔의 ... ...
무공해 자동차의 동력원으로도 가능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모듈화(module)돼 있어서 대용량화가 용이하며 조립건설기간이 짧아서 경제적이다.다섯째
공기
식 냉각방법을 도입하는 경우 냉각수가 필요없어 도심지 건설이 가능하므로 기존 발전소 건설시 문제가 되는 부지선정이 용이하다.여섯째 전력부하변동에 따른 응답시간이 빨라, 전력계통 투입시 중간 ... ...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양이 5~10%정도 많다고 주장한다. 그는 지구의 온난화가 계속되면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공기
의 습도를 증가시켜 더 많은 눈을 뿌린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수면이 높아지는 이유는 다른 지방의 얼음이 녹아서일 것으로 추측한다.컬럼비아 대학의 리차드 페어뱅크스 박사는 산호초를 연구해 ... ...
난방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냉방기에는 외부로 배출되며 난방기에는 공조기로 보내어 난방용 에너지를 절감시킨다.
공기
식 집열창 시스템에 대한 기본개념은 1930년대 스웨덴에서 시작됐으나 본격적인 개발은 1960년부터 핀란드의 에코노사가 중심이 돼 이루어졌다.이 시스템은 유리창 부근의 하향성 대류기류의 발생을 방지해 ... ...
오른뇌를 자극하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수 있다'는 자기확신을 갖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고 맑은
공기
를 폐부 깊숙이 들여마시면서 '나는 할 수 있다' '내 머리는 남달리 우수하여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다' '나는 반드시 합격할 것이다'고 다짐해 보라.이런 다짐은 매일 아침 반복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 ...
아리스토텔레스 Vs 데모크리토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구해보려고 했던 실험으로 유명하다. 이 실험을 잘 관찰하면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공기
가 실제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물질의 궁극에 관한 두가지 주장인 불연속적인 주장(원자론)과 연속적인 주장(4원소설)을 비교해 볼 수 있다.5. ④ 고대원자론이 쇠퇴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 ...
대기오염 정화에 큰 몫하는 자작나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대기오염을 정화하기 위해 활용코자 하는 나무들은 물질생산량이 크고 내연성도 높으며
공기
확산 저항치와 감수성이 낮다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갖추고 있는 나무는 없으므로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거나 일부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것이 있으면 이를 정화수로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있다. 뱀이 냄새를 맡을 때는 자콥슨기관이라 부르는, 혀에 있는 두개의 공모양의 방에
공기
를 넣어 분석한다. 이 방에 줄지어 있는 감각 세포는 뇌의 후각신경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뱀이 갈라진 혀를 날름거리는 것은 냄새를 맡고 있는 것이다.예를 들어 방울뱀이 아메리칸왕뱀의 냄새를 맡으면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