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같은 점들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첫째 동력의존형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압축
공기
가 항상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동력의존형 기기의 대부분은 자동제어설비에 의해 작동되지만 불가피하게 운전원의 보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동작하는 기기는 항상 완전무결한 것이 아니기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같이 있어준다.대부분의 포유동물과는 달리 돌고래 새끼는 꼬리부터 태어난다. 허파속에
공기
가 없으므로 곧 가라앉기 쉽고 질식해서 죽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갓 태어난 새끼는 곧바로 젖을 빨기 시작하고, 2주일이 지나면 수영을 익혀 어미를 따라다닌다. 이때 어미의 앞지느러미(앞발)나 ... ...
촛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꺼지는 이유는 심지에 의해 기화된 파라핀이 날리기 때문이다. 그것을 막으려면 외부의
공기
흐름도 막아야 하지만 상승기류를 잘 만들어 연료와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장 상승기류를 잘 만들어 주는 것이 군고구마장수의 불꽃모양이다.3 ① 양초의 심지가 녹은 연료(파라핀)를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은 그저 상태의 악화만으로 간단히 얻어진 것이 아니다. '
공기
가 나빠 숨을 못 쉬겠다'' 믿고 마실 물이 없다' 등등 개인적인 불안차원에 그치던 문제의식이 다수의 힘있는 여론으로 바뀌기까지는 환경오염 현장에서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해온 민간환경운동단체들의 주도적인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아주 이상적인 건물로 설계되고 지어졌음에 틀림없다. 판고에 들어서 보면 그 안의
공기
가 상쾌함을 피부로도 느낄 수 있다. 이 느낌은 앞으로 측정계기를 활용, 정확한 데이터로 작성해 볼만 하다. 그러면 실험적으로 증명이 될 것이다. 기술고고학적 연구가 여기에도 필요하게 된다.재주대장경은 ... ...
「라돈 공포」 전세계로 확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침입해 환기가 안되는 장소(지하실 등)에 이르면 인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라돈은
공기
보다 무겁기 때문에 2, 3층 이상의 고층에는 영항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토양외에도 천연석고보드 등 일부 라돈 함유량이 높은 건자재와 천연가스 등에서도 라돈가스가 방출되기 때문에 완벽한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않는다. 또 지하철과 지상철이 도시의 곳곳에 뻗쳐 있어 교통은 편리한 편이다.이 도시의
공기
는 '베를리너루프트'(Berliner Luft)라고 알려질 만큼 깨끗하기로 유명했지만 오늘날에는 먼 옛날의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겨울철에는 스모그현상 때문에 자동차운행이 통제되고 있을 정도다.수많은 숲과 ... ...
PARTⅠ 가변기구와 전자제어 전성시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한다.2000년대의 대체연료로 액화수소연료도 주목받고 있다. 이는 액화수소 연료가
공기
와 연소할 때 생성되는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NO}_{X}$)을 제외하고는 거의 무공해가스라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액화 수소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기존의 자동차에 비해 세배가 넘는 연료탱크가 ... ...
PARTⅣ 국내외의 엔진산업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있으나 약 0.001초 사이에 완료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내에 연소가 잘 일어나도록 연료와
공기
가 충분히 잘 혼합돼야 한다.연소과정 후에는 연소가스가 1천5백℃ 이상의 고온과 50기압이상의 고압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이 고온·고압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로 엔진구조물이 튼튼해야 한다.이처럼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살과 물렁뼈는 물보다 무겁고, 연골어류는 경골어류와 달리
공기
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이들이 떠 있으려면 쉬지 않고 헤엄을 쳐야 한다. 상어는 몸통의 후반부를 일렁이며 꼬리를 힘차게 흔들어 대면서 물속을 헤치고 나아간다. 하지만 그 추진력은 몸의 뒤쪽에서 나오기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