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8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이가 아직 나지 않아 고형 음식을 먹을 수 없는 포유류 새끼를 위해 진화한 젖을 다
큰
성체가 먹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는 주장이었다. 쉽게 말하면 송아지도 아닌데 왜 소 젖을 먹느냐는 얘기다. 그 의사의 참신한 발상에 깊은 인상을 받은 필자는 한동안 우유를 안 마셨는데 어느 날 문득 ... ...
미래 보건의료산업
KOITA
l
2013.08.09
제공받을 수 있는 장기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서 줄 사람보다 받을 사람이 많다는 점이
큰
문제다. 인공장기 개발이 시도되기도 했지만 그리 가능성 있는 결과를 못 얻은 것이 현재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이유인데 앞으로는 복제기술을 응용하여 필요한 장기를 생성할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또한 ... ...
[채널A] ‘하의 실종’ 패션 조심…멋 내려다 ‘불임’ 위험
채널A
l
2013.08.08
잘 배출이 돼야하는데 정체가 될 수 있고 어혈이 고착화 되고 장기화되면 종양의
큰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여름철에 주로 입는 몸매 교정 속옷이나 타이트한 스타킹도 하복부에 가하는 압박이 심하면 혈액 순환에 문제를 일으켜 생리 같은 생식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채널A 뉴스 ... ...
불꽃과 굉음으로 지구 탈출! 로켓엔진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행성 간 여행 기간을 충분히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엔진을 만들려는 연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현재 과학은 "모든 물질은 고도로 밀집된 에너지덩어리이다"라는 천재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말에 주목한다. 이는 핵 엔진(Nuclear engine ... ...
미래 통신산업
KOITA
l
2013.08.02
이른다. 모바일 트래픽의 증가세가 급격한 이유는 단말기의 급속한 증가가 가장
큰
이유이다. 2016년 전 세계 인구를 73억 명으로 볼 때, 인터넷 연결 모바일 기기는 100억 개를 훌쩍 넘게 된다. 스마트폰과 노트북, 태블릿 뿐 아니라 앞으로는 사물통신(M2M) 모듈의 증가도 이런 트래픽 폭증의 중요한 ... ...
이제 방제도 친환경! 산림해충 잡는 ‘페로몬’
KISTI
l
2013.08.02
효과조사를 한 후 시범방제 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페로몬을 이용한 방제의 가장
큰
장점은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만을 잡을 수 있다는 점이다. 페로몬은 종 특이적이어서 산림해충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페로몬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이 반응하는 특정 ... ...
자도 자도 다크서클 진해지는 이유
KISTI
l
2013.08.02
하지만 40~50대에 그동안 없던 알레르기 비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유전적인 영향도
큰
데 양쪽 부모 중 한쪽이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경우 약 50%, 두 쪽 모두 있는 경우 약 75% 확률로 자녀도 알레르기 비염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 알레르기 비염 치료법은?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법은 크게 세 ... ...
조종사의 손보다 위대했던 컴퓨터
KOITA
l
2013.07.30
흐름을 빠르게 하여 밀도를 높일수록, 날개가 공기의 흐름을 휘어놓는 각도가 클수록 더
큰
양력을 받는다. 이러한 각도를 받음각이라고 하는데, 받음각이 커질수록 양력도 커지는 것이다. 문제는 받음각이 일정 정도 이상으로 커지면 공기 흐름이 불규칙해져서 날개에 밀착하지 못하고 떨어져 나와 ... ...
기술혁신으로 본 새로운 기회 탐색
KOITA
l
2013.07.26
은 이미 2011년에 그래핀을 이용한 회로를 만들었다. 두 번째로 신기술이 사회경제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기업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 범위가 넓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인터넷(Mobile Internet) 경우 무려 50억 명에 이르는 인구가 스스로 기업가가 될 수 있는 기반을 ... ...
"나노연구는 기초연구가 곧 응용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3.07.25
그런지 이것저것 배우는 데 주저함이 없는 편입니다. 실제 이런 성향이 나노연구에
큰
도움이 됐지요. 나노과학은 융·복합 학문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접목할 수 있는 분야가 많은 만큼 나노 연구자도 물리, 화학, 전자 등 이해하고 있는 학문의 범위가 넓고 편견이 없어야 합니다.” 이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