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다.“현재 일본에서는 약 50곳의 식물공장에서 상업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00
% LED조명을 쓰는 식물공장은 저희가 세계 최초일 겁니다.”식물공장 시티팜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회사인 (주)인성테크 안형주 이사의 설명이다. 조명을 자세히 보면 백색광 LED뿐 아니라 빨간빛과 파란빛을 내는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스크린에는 한국해양연구원의 연구 활동, 각종 해양 상식, 관련 뉴스 같은 동영상
100
여 개가 작은 화면으로 둥둥 떠 있다. 화면을 선택하려고 스크린에 손을 가까이 가져가면 손이 채 닿기도 전에 화면이 커지면서 영상이 재생된다.‘우리 땅, 독도 열어보기’라는 디지털 북도 관람객의 ‘손길’을 ... ...
반짝반짝, 적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은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새로 태어난 별을 나타내지요. 광역적외선탐사망원경은 앞으로 6개월 간 우주를 돌며 약
100
만 장의 사진과 영상을 찍을 거래요. 앞으로 어떤 사진을 보여 줄지 기대됩니다 ... ...
은둔의 수학 영웅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7대 난제’를 발표한 것이다.흔히 ‘밀레니엄 문제’라고 하는 이 난제에는 각각
100
만 달러씩 총 700만 달러(약 80억 원)의 상금도 걸려 있다.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기간 제한이 없으며 논문이 국제 학술지에 실린뒤 2년 동안 검증해 오류가 없다는 결론이 나오면 상금을 받을 수 있다.그 뒤 10년이 지난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그 어떤 경우에도 4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는 매우 어려웠다.그 후
100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여러 수학자들이 이 문제에 매달렸다. 만약 4가지 색으로 칠할 수 없는 평면을 찾아 낸다면 4색 정리가 틀렸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고, 그런 평면이 없다면 4색 정리가 옳다고 증명할 수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시설을 70곳에서 550곳으로 늘린 중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들 나라는 50~
100
년 가까운 연구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홍길표 팀장은 “홍도와 흑산도 외에도 국내 섬 10곳 정도에 모니터링과 밴딩을 담당하는 팀을 파견하는 수준 정도 돼야 세계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고 말한다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해 방사선과 X선을 방출하는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하는
100
개의 은하를 관찰한 결과 이들 중 3분의 1이 새로운 별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연구팀의 설명은 이렇다.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기체와 먼지 같은 각종 물질은 블랙홀에서 소용돌이치면서 가열되고 ... ...
고추장
100
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고추에 대한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는 “고추의 종은 세계적으로
100
가지가 넘으며 원산지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학명을 비교하는 일만으로는 어디에서 어떻게 전래가 됐는지 알기가 어렵다”며 “고추 품종마다 유전정보(DNA)를 분석하고 서로 비교해 다른 품종 간의 유전적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하지만 전달매개체는 세포 내부에서 환원된 뒤
100
% 세포 밖으로 방출되지 않고 일부가 세포 내에 축적되기 때문에 어느 순간 전달매개체가 부족해진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전달매개체를 공급해야 했다. 게다가 세포 내부에 축적되는 전달매개체 분자는 대부분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회로망을 갖고 있다. 즉 뇌 안에서 가장 기본적인 수준이 미니컬럼으로 돼 있고 이 안에
100
여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결국 미니컬럼이 뇌의 논리회로인 셈이다. 따라서 그보다 아래 수준까지 알 필요가 없다. 단 미니컬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풀어내는 게 숙제로 남아 있다.그래프 이론으로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